'세기의 폭로자' 어산지 석방…혐의 인정하고 자유의 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군이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 저지른 민간인 살해 사건 등을 폭로했던 위키리크스 창립자, 줄리안 어산지의 도피극이 막을 내렸습니다.<br /><br />미국 간첩법을 위반했다는 혐의를 인정하는 대가로 자유의 몸이 된 겁니다.<br /><br />한미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고발·폭로 사이트 '위키리크스'를 설립한 줄리안 어산지는 2010년 미국 육군 정보분석원을 통해 얻은 외교 전문과 국방 정보를 폭로했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는 미군 아파치 헬기가 로이터 통신 기자를 포함한 민간인을 살해한 사건 등, 미군이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자행한 비위도 포함돼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언론의 자유와 알 권리 보장을 촉구하는 이들은 어산지의 행위를 열렬히 지지했지만, 미국 검찰은 언론의 취재 수준을 넘어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행위라고 판단했습니다.<br /><br />스웨덴에서 성폭행을 저지른 혐의로 수배된 상황에서 도피 생활을 시작한 어산지는 2012년 영국 주재 에콰도르 대사관으로 피신해 망명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2019년 망명 허가가 철회되면서 영국 경찰에 체포돼 수감 생활을 해왔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범죄인 인도 요청에 맞서 법정 공방을 이어온 어산지는 혐의를 인정하는 대신 형량을 낮추는 플리바게닝에 합의했습니다.<br /><br />현지시간 26일 사이판에 있는 미국 법원에서 영국에 수감돼 있던 5년을 복역 기간으로 인정받고 자유의 몸이 된 어산지는 곧바로 모국 호주로 향했습니다.<br /><br />호주 정부는 그동안 미국에 기소 중단을 요구해 왔지만, 미국이 불가 입장을 고수하자 어산지에게 합의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와 국경없는기자회 등은 어산지의 석방을 환영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언론의 자유를 위협하는 위험한 선례가 됐다는 비판도 나옵니다.<br /><br />뉴욕타임스는 "정부가 비밀로 간주하는 정보를 입수해 출판한 행위가 범죄로 다뤄진 첫 사례"라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 "아무런 방어책이 없는 이런 징벌적 법률을 사용하는 것은 모든 언론인이 이런 종류의 저널리즘을 하지 못하도록 침묵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입니다."<br /><br />어산지의 부인 스텔라 어산지는 유죄 인정에 대한 언론계의 우려가 매우 큰 만큼 이후 미국 정부에 사면을 촉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한미희입니다.<br /><br />#줄리언_어산지 #위키리크스 #플리바게닝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