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시아 "비우호국과 외교관계 격하 검토"…미 "북러 밀착 우려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러시아 고위 당국자들이 비우호국과의 외교관계를 격하할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개시 직후 우리나라도 비우호국으로 지정했는데요.<br /><br />미 고위 관계자는 북러 간 밀착을 거듭 우려하면서 제재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모스크바에서 최인영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러시아 고위 관계자들이 '반러시아적 정책'에 대응해 비우호국과의 외교관계 격하 가능성을 잇따라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은 현지시간으로 27일 자국 언론 인터뷰에서 "앞으로 어떤 선택지도 배제해서는 안된다"며 이같이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도 이날 "비우호적이고 적대적인 태도에 직면한 국가의 표준적인 외교 관행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 "러시아 연방은 우크라이나 위기에서 이러한 적대적인 개입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옵션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"어떤 결정도 내려지지는 않았다"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사태 직후인 2022년 3월 우리나라를 비우호국으로 지정했습니다.<br /><br />페스코프 대변인은 최근 '북한 공병부대가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에 배치될 수 있다'는 한국 언론 보도와 관련해선 "인지하지 않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러시아 측은 장거리 미사일 이전 등 북한과의 군사 분야 협력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은 "최근 러시아 동맹과의 군사 협력 문제가 확대됐고, 논의의 지리도 넓어졌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구체적인 나라를 지칭하지는 않았지만, 랴브코프 차관은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 기간에도 같은 내용의 발언을 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와 북한의 밀착 행보에 미 국무부는 거듭 우려를 표시했습니다.<br /><br />대니얼 크리튼브링크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이날 의회에 출석해 북러의 군사적 밀착을 "매우 우려한다"며 "무기 거래와 관련한 제재를 강화해야한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러시아 외무부는 "북러 간 새 조약은 동북아에서 전쟁 재발 위험을 줄이기 위한 것"이라며 "제3국을 겨냥하지 않는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모스크바에서 연합뉴스 최인영입니다. (seokyee@yna.co.kr)<br /><br />#러시아 #외교관계 #한국 #장거리미사일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