특이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에 많은 관광객이 찾는 울릉도의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줄 울릉공항 건설이 한창인데요. <br /> <br />건설 자재 수급난 등으로 작업이 지연되면서 완공이 길게는 2년이나 늦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울릉공항 건설 현장에 홍선기 기자가 다녀왔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울릉도 사동항 바로 옆에서 바다를 메워 활주로를 만드는 공항 건설 작업이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울릉도는 평지가 거의 없어 해발 194m인 가두봉을 깎고 바다를 매립하는 방식으로 김포공항 3분의 1수준인 활주로 천2백 미터를 만들게 됩니다. <br /> <br />대규모 건설 공사이다 보니 울릉도의 아름다운 자연과 생태계를 해치지 않을까 꼼꼼한 점검도 이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고대걸/대구환경청 환경평가과장 : 훼손 수목 이식 보전 대책 확대, 괭이갈매기 등 바다새 정밀 조사 실시, 조류 충돌 저감 방안과 보존 대책 마련, 해양 조류 및 잘피류 확대 조사 및 보존 대책 마련 등의 의견을 냈습니다.] <br /> <br />공항 건설이 완료되면 현재 연 40만 명 수준인 관광객은 100만 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배편은 기상 상황 때문에 연평균 120일은 결항하는 데다 이동시간도 긴 반면, 비행기는 국내 어느 공항에서든 한 시간이면 닿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황효숙/울릉도 상인 : 배 멀미 하시는 분들 이런 분들, 오기 힘든 분들이 비행기로 오게 되면 아무래도 오시는데 시간도 덜 걸리고, 자기 가고 싶은 곳에 빨리 올 수 있다는 게 (장점이죠.)] <br /> <br />그런데 울릉 주민과 관광객들 기대를 한몸에 받는 공항 건설이 늦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는 2026년 상반기 개항 목표인데 지난달 기준 공정률이 47%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합니다. <br /> <br />날씨가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하는 데다, 건축 자재 공급도 원활하지 못한 탓입니다. <br /> <br />[박재길/DL 이앤씨 울릉공항 현장소장 : 바다에서 이뤄지는 해상 공사고, 울릉도의 기상 여건이라든지 작업 일수가 생각보다 나오지 않습니다.] <br /> <br />철근이나 레미콘 이런 부분들을 원활하게 공급 받지 못했습니다. 복합적이라고 생각합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는 울릉공항 개항 연기를 공식 발표하지 않고 있지만, 현장 관계자와 울릉군 등의 말을 종합하면 최장 2년까지 늦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울릉공항 개항 연기가 기정사실화 하면서 관광객 증가와 그로 인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했던 주민들의 아쉬움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홍선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홍선기 (sunki052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629051800672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