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패션 거인' 쉬인도 상륙...패션업계 생존 전략은? / YTN

2024-07-02 1 Dailymotion

이른바 '알테쉬'로 불리는 C-커머스의 마지막 주자죠. <br /> <br />중국 온라인 패션 플랫폼 쉬인이 초저가 전략을 앞세우며 국내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패션 업계는 타격을 우려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국내 업계의 생존전략은 무엇인지 황보혜경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4월 공식 홈페이지를 열며 본격적으로 한국 시장 문을 두드린 쉬인. <br /> <br />4천 원대 티셔츠, 만 원대 원피스 등을 판매하며 알리 익스프레스나 테무처럼 '초저가' 전략을 앞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차이점은 패션 분야에 집중한 '패션 공룡'이라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쉬인은 재작년 틱톡과 인스타그램을 넘어 미국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 받은 앱에 이름을 올릴 정도로 급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미 시장에서는 패스트패션을 대표하는 H&M과 자라를 제치고 압도적 1위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패션업계도 쉬인 진출 여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비교 불가의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일단 중소 의류업체를 위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[최윤선 / 서울 동대문 의류도매상인 : (쉬인이) 거의 도매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으니까 저희한테는 조금 위협이 되긴 하죠. 소규모로 장사하는 분들이 너무 힘들어지니까, 그게 제일 걱정이 되긴 하죠.] <br /> <br />지난해 미국에서는 쉬인이 디자인을 베꼈다는 소송이 여러 건 제기되는 등 국내 지식재산권 침해도 우려되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[박혜진 / 서울 동대문 의류도매상인 : 국내에서 다 자체제작하는 건데, 카피하다 보면 저희 것을 중국 제품이라고 오해하는 분들이 간혹 (있을 수 있어서….)] <br /> <br />쉬인은 국내 패스트패션 브랜드를 넘어 무신사와 같이 패션 플랫폼으로서의 영향력을 키워간다는 전략입니다. <br /> <br />당장 국내 플랫폼에 미치는 타격은 크지 않지만, 경쟁력 강화에 향후 성패가 달렸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[박영수 / 한국패션산업협회 상무 : 결국 상품이 좋으면 C-커머스로 인해 우려되는 부분들은 얼마든지 국내 패션 업계들이 헤쳐나갈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거든요. (국내 패션 플랫폼이) 소비자들이 즐길 수 있고 만족할 수 있는 AI 기술들을 자체적으로 개발해서 플랫폼에 담아야 한다고 생각하고….] <br /> <br />규제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해외 플랫폼과의 형평성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. <br /> <br />[정연승 / 단국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: 제품에 대한 품질이나 안전 문제, 세금에 대한 부분도 관세·부가세 등을 전반적으로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황보혜경 (bohk101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70305330407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