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사고의 원인과 관련해 운전자는 차량의 급발진을 주장했죠, <br /> <br />물론 조사 결과를 기다려봐야 합니다. <br /> <br />인정되진 않았지만, 운전자들이 급발진을 주장한 사례, 그동안 꾸준히 있어왔습니다. <br /> <br />화면 함께 보시죠. <br /> <br />블랙박스 화면인데요, 갑자기 속도가 붙더니 이렇게 앞차를 들이받습니다. <br /> <br />계속 밀고 나가죠. <br /> <br />결국 앞차는 핸들을 꺾었고, 이 차량은 역주행을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맞은 편에서 오던 탑차는 간신히 이 차량을 피합니다. <br /> <br />무서운 속도로 질주를 이어가다 결국 전봇대를 들이받고 멈춰섭니다. <br /> <br />또 다른 화면 보실까요, <br /> <br />이번엔 아파트 주차장인데, 후진하던 차가 그대로 뒷차를 들이받고 정상주행을 하나 싶더니, 주차돼 있는 다른 차들을 연쇄적으로 추돌합니다. <br /> <br />이번엔 한 사거리인데, 무서운 속도로 달려온 택시 한 대가 그대로 건물을 들이받고 사라집니다. <br /> <br />지금 보신 차량의 운전자들 모두 차량의 급발진을 주장했는데요, <br /> <br />그렇다면 내 차도 이런 상황을 겪지 않으리라는 법은 없겠죠. <br /> <br />제어 불가능한 급발진을 감지했을 때 운전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? <br /> <br />일단, 브레이크를 먼저 활용해야겠죠. <br /> <br />여러번 나눠 밟지 말고, 이렇게 한 번에 있는 힘껏 밟아야 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급발진 사례자 대부분이 브레이크가 말을 안 들었다는 증언을 하곤 하는데요, <br /> <br />이럴 때는 요즘 많은 차량에 장착된 EPB, 즉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를 활용하라고 전문가는 조언합니다. <br /> <br />[박기옥 / 한국교통안전공단 연구위원(지난해) : 이런 경우에는 기어를 중립에 놓고 EPB를 작동시키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. 여의치 않은 경우에는 중립으로 바꾸지 않고, EPB만 작동시켜도 충분히 제동력이 어느 정도 나오기 때문에…] <br /> <br />이외에도 최대한 안전한 방향으로 핸들을 꺾는 것도 이후에 발생할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 되겠죠. <br /> <br />급발진 현상이 발생하는 갑작스러운 순간에 이 모든 방법을 기억하긴 힘들어도 나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는 경각심으로, 대처법을 숙지해야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나경철 (nkc800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70314532908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