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0㎜ 폭우 온다더니 '찔끔'…빗나간 날씨 예보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고 1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질 것이라는 기상청 예보와는 달리, 밤사이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장맛비 예보가 왜 빗나갔는지, 기상청 예보에 문제점은 없는지, 김재훈 기상전문기자가 알아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출근길 폭우가 쏟아질 것이란 예보에 단단히 준비하고 나온 시민들.<br /><br />하지만 하늘은 점점 개고, 손에 든 우산은 거추장스러워집니다.<br /><br />당초 기상청은 중부에 100mm 안팎의 집중호우가 쏟아질 것으로 예보했지만,<br /><br />실제 내륙에서 가장 비가 많이 내린 곳은 강원 홍천으로 고작 30mm에 그쳤습니다.<br /><br />서울 7.7mm, 대전은 3.9mm의 찔끔 비만 관측됐습니다.<br /><br />기상청은 예상보다 저기압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비구름 중심이 북한으로 올라갔다고 해명했습니다.<br /><br />여름철은 기압계 변동이 워낙 심하고 대기도 불안정해 강수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세계 1위 날씨 예측 모델인 유럽중기예보센터(ECMWF)와 2위 영국통합모델도(UM)도 강수적중률은(강수임계지수) 40%대에 그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최근 기후변화라는 큰 변수까지 더해져 예보 난이도는 점점 더 올라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실제 한국 기상청의 강수적중률은 2019년부터 줄곧 하락세를 보이다 지난해 겨우 소폭 반등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기상청은 여름 기준을 5~9월로 늘리고, 날씨 전망을 1년 단위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기후변화로 하루 뒤 예측도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행정 성과를 위해 전망 기간만 늘리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재훈입니다. (kimjh0@yna.co.kr)<br /><br />#기상청 #예보정확도 #강수적중률 #기후변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