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가계대출 증가세가 심상치 않습니다.<br> <br>나흘만에 무려 2조 원 넘게 늘어났습니다. <br> <br>우리 경제 시한폭탄으로 불리는 영끌과 빚투가 다시 꿈틀대는 모습입니다. <br><br>유찬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서울 성동구의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. <br><br>이 단지 전용면적 84제곱미터 아파트 최근 매매가는 작년 하반기 대비 6억원 가까이 오르면서 문재인 정부 때인 2021년의 최고가를 거의 따라잡았습니다.<br> <br>이달 들어 단 4일 만에 주택담보대출이 8400억 원 가까이 늘었는데 서울 아파트값 상승이 대출 수요를 자극했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[송인왕 / 서울 성동구] <br>"애초에 이제 가격이 떨어질 생각을 안 하는 것 같아서 그런(집을 못 살) 부담이 좀 많이 있습니다." <br><br>여기에 국내외 주식 투자 등 이른바 '빚투' 등의 영향으로 신용대출도 1조 원 넘게 불어나면서, 전체 가계 대출은 2조 2,000억 원 증가했습니다.<br> <br>[석병훈 /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] <br>"부동산을 구매하고자 하는 수요도 증가를 했고요. 대출을 받아서 주식 같은 자산에 투자를 하고자 하는 빚투 수요까지 (늘었습니다.)" <br><br>당국은 가계대출 조이기에 나섰습니다. <br><br>[김병환 / 금융위원장 후보자(지난 5일)] <br>"부채가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고 앞으로 우리 경제가 성장하는데도 제약 요인이 될 수도 있어 (관리하려고 합니다.)" <br><br>갚아야 할 대출 원금과 이자의 합을 연소득으로 나눈 값, 이른바 DSR 계산에 전세대출도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유 찬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윤재영 <br>영상편집: 차태윤<br /><br /><br />유찬 기자 chancha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