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 김일성 30주기…손자 김정은 우상화 '완성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은 김일성 주석 30주기를 맞아 추모 열기를 띄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일성이 사망한 지 30년이 지난 현재 북한은 손자인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김일성과 같은 반열에 올려세우는 등 우상화에 극성인데요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김일성 주석은 1994년 7월 8일 사망했습니다.<br /><br />해마다 이날이 오면 손자인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고위 간부들을 대동하고 김일성·김정일 시신을 참배합니다.<br /><br /> "김정은 동지께서 민족 최대의 추모의 날에 즈음하여 금수산태양궁전을 찾으시었습니다."<br /><br />올해는 30주기로, 이른바 '정주년'인 만큼 대규모 중앙추모대회를 개최하며 추모 분위기를 띄울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, 북한이 올해부터 김일성 생일의 공식 명칭을 '태양절'에서 '4월 명절'로 바꾸는 등 김일성의 위상은 전보다 낮아졌습니다.<br /><br />반면 김정은은 선대 지도자들과 완전히 같은 반열에 올라섰습니다.<br /><br />지난 5월 김정은 초상화가 김일성·김정일 초상화와 나란히 벽에 걸린 모습이 처음으로 확인된 데 이어 김정은 얼굴이 혼자 새겨진 배지(초상휘장)까지 공개됐습니다.<br /><br />이는 김정은 우상화가 '완성 단계'에 들어섰다는 의미입니다.<br /><br /> "일련의 김정은 우상화 동향은 선대 흐리기 일환인 동시에 독자적인 지도자로서의 위상을 확립하려는 움직임으로 평가됩니다."<br /><br />북한 주민은 의무적으로 최고지도자의 초상휘장을 가슴에 달고 다닙니다.<br /><br />김일성 배지는 50대 후반인 1970년대부터 보급되기 시작했고, 김정일 배지는 만 50세 때인 1992년 처음 제작됐지만, 2000년대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공개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김정은 단독 배지는 만 40세인 올해 등장했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할아버지와 같은 '우상'이 된 김정은이지만, 김일성 생전에 한 번도 할아버지를 만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생모 고용희가 김일성 사망 때까지 김정일의 공식 부인 대접을 받지 못한 탓에 할아버지에게서 손자로 인정받을 수 없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<br /><br />(yoonik@yna.co.kr)<br /><br />#북한 #김일성 #김정은 #우상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