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바이든 미 대통령은 TV 토론 실패를 만회하려고 연일 강행군 중인데요. <br><br>고령 리스크는 없다며 인터뷰와 연설을 이어가고 있지만, 되려 긁어 부스럼이라는 혹평도 나옵니다. <br> <br>뉴욕에서 조아라 특파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11월 미 대선 주요 경합주이자 자신의 고향인 펜실베이니아를 찾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. <br> <br>프롬프터를 보지 않고 이뤄진 7분 간의 연설에서 그는 단결을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 대통령] <br>"신 앞에서 솔직히 말하건대 우리가 단결하면 미국의 미래는 이보다 더 낙관적일 수 없습니다." <br><br>대선후보 사퇴 압박이 민주당 내에서까지 제기되자 이를 일축하고 건재함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해석 됩니다. <br> <br>하지만 뉴욕타임스는 "짧은 연설 시간이었음에도 그의 생각은 뒤죽박죽으로 보였고 목소리도 듣기 어려웠다"며 혹평했습니다.<br> <br>고령 리스크와 인지력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 대통령 (현지시간 6일, ABC 방송 인터뷰)] <br>"할 수 있는 최고의 성과를 냈다면 그게 바로 이 일의 의미일 것입니다." <br> <br>사흘 전 미 ABC 방송사와의 인터뷰에서는 '최고'라는 뜻의 단어 ‘베스트’를 ‘구디스트’라고 잘못 발언한 것이 보도 되자 백악관이 바꿔 달라고 수습에 나서며 논란이 확산된 겁니다.<br> <br>민주당 하원 중진 비공개회의에서도 사퇴 목소리가 터져 나오는 등 바이든에 대한 압박 수위는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최소 9명의 하원 의원이 대통령 사퇴를 요구하거나 대선 행보에 우려를 표명했습니다. <br> <br>[애던 쉬프 / 민주당 하원의원] <br>"트럼프를 이길 수 있거나 이길 것이라는 점을 미국인들에게 보여줄 수 있습니까?" <br><br>현지시간 9일부터 사흘간 열리는 나토 정상회의가 바이든의 사퇴 여부를 판가름할 시험대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뉴욕에서 채널A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김창종 (VJ) <br>영상편집: 구혜정<br /><br /><br />조아라 기자 likei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