밤사이 경북지역에 강한 비가 쏟아지면서 안동과 영양에 올해 첫 '호우 긴급재난문자'가 발령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처음으로 도입되며 수도권에만 시범 운영됐는데, 점차 확대돼 올해는 전남과 경북에도 발송됩니다. <br /> <br />김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밤사이 100mm 이상의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던 충청과 경북. <br /> <br />특히 경북 안동과 영양에는 시간당 50mm가 넘는 강한 비가 내리며 올해 첫 '호우 긴급재난문자'가 발송됐습니다. <br /> <br />북쪽의 차고 건조한 공기와 남쪽의 따뜻한 공기 사이에서 비구름의 통로가 만들어져 <br /> <br />좁은 띠 모양의 매우 강한 비구름이 경북 지역을 지났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우진규 / 기상청 통보관 : 간밤에 상층으로부터 건조한 공기가 남쪽으로 내려오고 남쪽에서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북쪽으로 올라오며 강한 정체전선에 발달한 비구름대가 형성되었고, 새벽 3시쯤 안동 7개 지역에 이어 4시 50분쯤 영양 4개 지역에 호우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했습니다.] <br /> <br />기상청이 직접 발송하는 호우 긴급재난문자는 1시간에 50mm, 3시간에 90mm가 동시에 충족되거나 1시간에 72mm 이상의 호우가 쏟아지면 곧바로 각 읍, 면, 동에 긴급문자가 발송됩니다. <br /> <br />40dB의 알림음을 동반하고, 호우 현황과 함께 레이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링크도 첨부됩니다. <br /> <br />접근 금지 구역 등 행동 요령도 함께 제공하기 때문에 수신 즉시 확인하고 신속하게 대피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수도권에 처음 도입돼 6건이 발송된 호우 긴급 재난문자. <br /> <br />올해는 지난 10년 동안 발송 기준 도달 일수가 가장 많았던 광주·전남과 지난해 인명피해가 가장 많았던 대구·경북에도 확대됩니다. <br /> <br />[김성묵 / 기상청 예보정책과장 : 다양한 관측자료를 활용해서 비구름의 강도와 이동을 분석하고 정밀하게 읍면동을 선택해서 발송해야 되는데 현재는 예보관 인력의 한계로 단계적으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극한 호우의 빈도가 잦아지는 만큼, 기상청은 매년 호우 긴급재난문자 발송 지역을 차례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민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:문지환 <br />디자인:이나은, 백승민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민경 (kimmin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40708202441592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