장마철 산사태는 예측하기 힘든 만큼 큰 인명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지난해 발생한 피해조차 복구하지 못한 곳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산사태 위험 지역 실태 조사나 관리 감독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송세혁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높이 150m 산비탈에서 바위와 흙이 폭포수처럼 쏟아집니다. <br /> <br />장맛비가 쏟아진 지난해 7월, 정선군의 한 도로 피암터널에서 발생한 산사태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산사태는 세 차례나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1년 가까이 지난 지금은 어떤지 가봤습니다. <br /> <br />터널이 있던 자리입니다. 20m여 구간이 흔적도 없이 사라졌습니다. 주변 곳곳에는 집채만 한 바위들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금방이라도 무너질 듯 위태로워 보이는 비탈면에서는 추가 붕괴를 막기 위해 철망을 설치하는 작업이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아래쪽에서는 중장비가 떨어진 바위와 흙을 치우느라 바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낙석 양이 만3천 톤에 이르는 데다 경사가 심해 언제 마무리될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1년 가까이 도로가 통제되면서 먼 길로 돌아다니는 주민들의 불편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[고명균 /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: 복구도 안 됐지만 하는 중인데, 하더라도 또 무너질까 걱정이죠. 그리고 가까운 길 놔두고 멀리 돌아다니니까 아주 불편하죠.] <br /> <br />전국 산사태 취약 지역은 2만여 곳. <br /> <br />문제는, 인명 피해가 난 산사태 대부분이 취약 지역이 아닌 곳에서 발생했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실태 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특히, 산을 깎아 도로를 뚫고 건물을 지으면 산사태 위험은 더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부처별로 관리가 제각각이다 보니 피해 예방 대책은 허술합니다. <br /> <br />[이수곤 / 前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: 사람이 건드리면 산사태가 80∼90% 나는데, 그거는 산림청에서 고려하지 않아요. 왜냐면 관할이 아니거든요. 태양광이면 산자부, 주택이면 주택과, 다 소관 부서가 바뀌어버려요.] <br /> <br />지난해 장마철 산사태와 토사 유출로 숨지거나 실종된 사람은 26명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산사태 우려 지역을 신고하는 제도를 만들고, 행정 당국과 주민 간 정보를 공유하는 등 민관 합동 대응 체계를 세우는 게 시급하다고 입을 모읍니다. <br /> <br />YTN 송세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: 김동철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송세혁 (shsong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709223856410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