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도권 폭우 '헛발질'…충청·전북 '예보 3배' 물벼락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당초 수도권에도 150mm가 넘는 많은 비가 예보 됐지만 실제로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반대로 충청과 전북은 기상청 예보의 3배에 가까운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는데요.<br /><br />충청과 남부지방에 왜 이렇게 많은 비가 집중됐는지, 김재훈 기상전문기자가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당초 기상청은 수도권에 최대 150mm의 많은 비를 예상했습니다.<br /><br /> "최대 150mm 이상의 강수가 예상되고 있고, 서울 지역에서도 120mm, 많은 곳에 영향이 있겠습니다."<br /><br />서해상에서 비구름대가 몰려오자 9일 밤 8시에는 선제적으로 호우주의보까지 미리 발령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서울의 관측된 강수량은 고작 1.7mm, 폭우 대신 오히려 폭염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.<br /><br />비구름이 집중된 충청과 전북에는 기록적인 물벼락이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전북 익산에는 하루에만 312.5mm의 전례 없는 폭우가 관측됐습니다.<br /><br />당초 전북에 예보된 비의 양보다 3배가량이나 더 쏟아진 것입니다.<br /><br />유독 충청과 전북 경북에 비가 집중된 것은 북쪽 차가운 공기가 저기압의 북상을 막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북쪽이 꽉 막혀버리자 비구름대가 오히려 충청과 전북으로 더욱 압축적으로 들어오게 된 것입니다.<br /><br />특히 저기압과 남쪽 아열대 고기압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수증기를 고속으로 실어 나르는 '하층제트'까지 만들어졌습니다.<br /><br />폭우의 재료가 되는 수증기가 강풍을 타고 유입돼 비구름이 더욱 폭발적으로 발달한 것입니다.<br /><br />원래 여름철은 예측 정확도가 크게 떨어지는 시기이지만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예측 난이도가 훨씬 더 높아졌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하늘만 쳐다보고 있을 수는 없는 실정, 변화하는 기후에 맞게 기상청 예보도 개선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재훈입니다. (kimjh0@yna.co.kr)<br /><br />#빗나간예보 #극한호우 #기상청 #기후변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