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의료공백을 해소하려는 정부, 오는 9월 전공의들이 복귀할 수 있게 유도하는 중이죠. <br> <br>이 과정에서 지역 병원의 전공의들이 수도권으로 대거 이탈할 거란 우려가 나왔는데, 정부가 권역 외 이동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홍란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전공의들을 수련시키는 수련병원들이 오는 9월 전공의가 복귀하더라도 동일 권역내 병원에만 지원하게 해달라고 정부에 요구했습니다. <br><br>정부는 전공의 복귀를 위해 사직 1년 내라도 같은 연차와 전공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방침을 완화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지역 제한은 없는 탓에 지역 병원 전공의가 수도권 인기과로 이탈할거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겁니다.<br><br>복지부 관계자는 "열어 두고 검토 중"이라며 "전공의들의 원활한 복귀를 위한 요구라고 생각한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대한수련병원협의회는 이 외에도 정부가 요청한 복귀 시한을 오는 15일에서 22일로 연장할 것을 요청했습니다. <br> <br>또 사직서 수리시점 또한 정부 방침인 6월 대신 2월로 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복지부 관계자는 사직 시점과 관련해 "병원장들에게 위임한 만큼 개입할 생각은 없다"고 한 발 물러섰습니다. <br><br>최대한 복귀 걸림돌을 제거해 의료 공백을 해소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하지만 전공의들은 여전히 시큰둥합니다. <br><br>한 빅5 병원 사직 전공의는 채널A와의 통화에서 "정부의 유인책들은 부수적이고 관심도 없다"며 "의대 정책 원점 재검토 없이는 돌아가지 않을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최창민 / 전국의대교수 비대위원장] <br>"정부가 단지 전공의 복귀할 수 있는 방법을 발표한 거라서 현재 전공의들은 해결된 게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복귀할 의사가 없는 거죠." <br> <br>실제 정부 발표 다음 날 전공의 출근자는 5명 감소했고 기존보다 2명 더 사직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홍란입니다 <br> <br>영상편집: 조성빈<br /><br /><br />홍란 기자 hr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