군 당국이 세계 최초로 레이저 대공무기를 실전 배치하기로 하고 양산에 돌입한다. 적은 비용으로 낙탄 위험 없이 도심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북한 무인기에 효과적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. <br /> <br /> 방위사업청은 11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‘한국형 스타워즈 프로젝트’의 첫 번째 사업으로 꼽히는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-I의 양산 착수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. 해당 사업은 2019년 8월 871억원을 들여 국방과학연구소(ADD)가 체계개발을 주관하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시제 기업으로 참여하며 시작했다. 이후 지난달 25일 방사청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양산계약을 체결했다. <br /> <br /> 해당 무기 체계는 광섬유로부터 생성된 광원 레이저를 표적에 직접 쏴 무력화시키는 신개념 미래 무기체계다. 근거리에서 소형무인기 및 멀티콥터(Multicopter) 등을 정밀 타격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. 레이더로 표적을 탐지·추적한 뒤 레이저로 표적에 섭씨 700도 이상 열을 가해 엔진 등을 태우는 방식이다. 블록-I의 출력은 20㎾(킬로와트)급으로 고도 2~3㎞로 날아가는 북한 소형 무인기를 격추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한다. <br /> <br /> 방사청은 지난해 4월 ADD 충남 태안 안흥시험장에서 블록-I의 시험평가를 진행해 전투용 적합 판정을 내렸다. 당시 시험평가에서 레이저를 30회 발사해 3㎞밖에 있는 무인기 30대를 모두 맞혀 100%의 명중률을 기록했다. <br /> <br /> 레이저 대공무기의 장점은 명확하다. 전기만 공급되면 운용이 가능하고, 1발당 소요 비용은 2000원에 불과하다. 조잡한 수준의 북한 무인기에 고비용의 20㎜ 벌컨, 30㎜ 차륜형 대공포, 휴대용 지대공 유도무기 ‘신궁’,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‘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262857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