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최근 중국의 북한 접경지에 다녀왔다는 유투버들의 영상이 많은데요. <br><br>북한 식당 같은 민감한 곳에 몰래 들어가 촬영도 합니다. <br><br>높은 조회수를 노린 거지만 위험을 자초하는 일입니다.<br><br>송진섭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두만강 너머로 형형색색의 아파트들이 보입니다.<br><br>일부 건물에는 김일성과 김정일의 대형 사진도 걸려 있습니다.<br><br>얼마나 가까운지, 자전거를 타는 북한 주민의 모습이 선명하게 보입니다. <br><br>[동영상 촬영자]<br>"(북한까지) 한 30~40m 될 거 같은데?"<br><br>온라인 방송인들이 북중 접경지역을 방문해 직접 촬영한 영상입니다.<br><br>문제는 인기와 흥미를 위해 보안상 문제가 될 수 있는 장소 출입도 서슴지 않는다는 겁니다.<br><br>한국인 출입이 허용되지 않는 접경지 인근 북한 식당에 몰래 들어가 음식을 평가하고 공연 장면까지 촬영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.<br><br>조선족으로 가장해 입장했다가 발각되기도 합니다. <br><br>[현장음]<br>"조선족 맞아요? 말투가 괴뢰 말투 같아요."<br><br>일부는 중국 국경수비대에게 촬영을 제지 당하기도 합니다. <br><br>지난해 중국에서 반간첩법 개정안을 적용해 관광객에 대한 감시가 엄격해졌기 때문입니다. <br><br>[현장음]<br>"외국 분들은 이곳에 오면 다 조사를 받아야 해요. 그러니 한국말 적당히 하시는 게 나을 것 같아요."<br><br>전문가들은 북중 접경 지역은 재미로 방문할 수 없는 위험한 지역이라며 주의를 당부했습니다.<br><br>[양무진 /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]<br>"중국이라든지 북한이라든지 (접경 지역에)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있기 때문에 남북관계 또는 한반도 평화 안정 부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(생각합니다.)"<br><br>통일부도 북중 접경 지역 방문 영상들에 대해 "제작 과정과 유통에 불법 등 문제 소지가 없는지 살펴 보겠다"고 밝혔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송진섭입니다.<br><br>영상편집: 유하영<br /><br /><br />송진섭 기자 husband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