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∼6가지 근거로 서울 아파트값 당분간 상승 전망 <br />"재정한도 안에서 저평가 매물 꼼꼼히 검색 필요" <br />"급등하는 가격 보고 ’조바심’ 갖지 않도록 주의" <br />’선 매도, 후 매수’ 원칙도 잊지 말아야<br /><br /> <br />서울 일부 지역에서 시작된 아파트값 급등 현상이 서울 전역과 인근으로 퍼져나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파트값이 이렇게 심상찮게 들썩이면서, '나는 어떻게 해야 하나'하고 고민하시는 분들 많을 텐데요. <br /> <br />전문가들의 말을 김기봉 기자가 들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6주 연속 오름세에 상승폭도 점점 더 커져 0.24%에 이른 서울 아파트값. <br /> <br />시발점이 된 강남지역뿐 아니라 강북도 함께 뛰는 모습인데, 서울을 넘어 수도권도 상승폭이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대체로 서울과 수도권의 아파트값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세가와 거래량, 분양가와 향후 공급량, 여기에 다른 나라의 집값 추이도 근거가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윤지해 /부동산R114 수석연구원 : 1~2년 동안 쌓였던 물건들이 소진되는 데도 시간이 좀 필요하고요. 소진되는 시기가 올 하반기와 내년 초 정도로 보이고요. 매물이 소진되고 나면 신축 공급과 구축 공급이 다 부족해지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(가격이 더 요동칠 수 있다고 봅니다.] <br /> <br />아직 힘을 받지 못하는 지방도 시차를 두고 상승세가 전달될 거라는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고종완 / 한국자산관리연구원 : 결국은 서울의 집값 상승 현상은 수도권으로 확산되고, 과거의 패턴을 보면 1년 정도 시차를 가지고 지방으로 확산한 사례가 많았습니다.] <br /> <br />아파트 구매를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전문가들은 적극적으로 찾아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. <br /> <br />다만 본인이 감당할 수 있는 재정 한도 안에서, 아직 저평가된 매물을 꼼꼼히 찾는다는 전제입니다. <br /> <br />[이동현 / 하나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: 실수요자 입장에서 접근한다면 지금이라도 관심 있게 좋은 조건에 나온 매물들에 좀 관심을 충분히 가질 필요는 있습니다. 향후 이쪽 지역에 급격히 공급이 늘어갈 방안이 지금으로서는 쉽지 않아 보이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하지만 불과 며칠 새 억 단위가 바뀌는 일부 지역의 급등세를 보면서 생기는 조바심은 경계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내일이면 더 오를 거라는 불안감에, 이미 급등한 집을 급하게 계약하는 '추격매수'는 절대금물입니다. <br /> <br />[박원갑 / 국민은행 부동산 수석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기봉 (kgb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71305025584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