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에 키워드를 학습시켜 사진을 생성하면 원작과 어떤 차이가 날까요? <br /> <br />과학기술과 결합하며 독립된 시각예술로 발전한 프랑스 현대 사진전이 열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밤을 주제로 엮은 화제의 사진전까지 김정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사진 거장 '만 레이'의 눈물! 그런데 어딘가 어색합니다. <br /> <br />'에드워드 웨스턴'의 '누드' 사진도 자세히 보면 손가락이 6개에 다리 굴곡도 기묘합니다. <br /> <br />사실 이 사진들은 프랑스 현대 사진 작가 2명이 인공지능을 학습시켜 나온 결과물로 인공지능의 한계, 표절 문제 등을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동굴 속 돌의 결정체를 고성능 렌즈로 확대해 찍었더니 마치 추상화같은 사진이 완성됐고, <br /> <br />열화상 카메라를 거친 30대 젊은 작가의 이 사진은 개성이 넘칩니다. <br /> <br />기록을 위한 도구, 영혼이 빠진 판박이 이미지로 천대받던 사진은 과학기술과 협력하며 현대 시각예술로 진화를 거듭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수균/성곡미술관 부관장 : 사진은 기록을 떠나서 시각예술로서 세상을 바라보는 창, 세상을 이해하는 창이 됐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.] <br /> <br />고전적 기법을 응용한 사진부터 현대적 기법을 동원한 실험적 사진까지 <br /> <br />모두 200년 전 사진술을 발명한 프랑스의 동시대 작가들의 사진입니다. <br /> <br />전시 전반에는 자연에 대한 관심과 미래 환경에 대한 우려가 공통 키워드로 녹아있습니다. <br /> <br />감광지를 놓고 오래 기다리다 밤에 지나가는 곤충을 포착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는 곤충들을 라이트박스로 유인해 촬영한 사진을 일본의 한지에 인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밤을 주제로 엮은 이 사진전은 밤에 특화된 동물에서 출발합니다. <br /> <br />밤에 더 예민해지는 감각들을 깨우기 위해 전시장 조도는 한껏 낮췄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의 상징적 건물인 '플랫 아이언의 밤 풍경은 인화기법을 달리해 회화 같은 효과를 냈고, <br /> <br />미국 뉴멕시코의 월출을 담은 이 사진은 11단계 조도가 한 장 사진에 모두 담겨 흑백사진의 정수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낮에 분출하지 못한 욕망의 방을 지나 <br /> <br />알록달록한 꿈의 방에 이르면 <br /> <br />응축됐던 무의식이 현실인 듯 아닌 듯 자유롭게 펼쳐집니다. <br /> <br />누군가에겐 휴식으로 누군가에겐 죽음으로 또 누군가에겐 새로운 희망으로, <br /> <br />사진 전문 미술관 뮤지엄 한미가 기록한 이번 전시는 밤 끝자락에 대한 해석을 관람자 개인의 열린 결말로 남겼습니다 <br /> <br />YTN 김정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;이현오 <br />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정아 (ja-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4071405183501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