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70대 이상 취업자 최대폭 증가..."노동 수명 연장해야" / YTN

2024-07-14 196 Dailymotion

15살 이상 취업자 2,845만 명…지난해보다 22만↑ <br />노년층, 일자리 상승 주도…"노동력 활용 높여야"<br /><br /> <br />올해 상반기 70대 이상 취업자 수가 15만 명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로 가장 많이 증가한 수치인데요. <br /> <br />국가 경제성장률을 높이기 위해서 노동 수명을 늘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황보혜경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상반기 15살 이상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22만 명 늘어난 2천845만 명. <br /> <br />나이별로 살펴보니 60대 이상 취업자 수가 28만 2천 명 늘어 전체 연령대 가운데 증가폭이 가장 컸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70대 이상은 15만 명 급증한 192만 5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8년 이래로 가장 큰 증가폭입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청년층은 어떨까? <br /> <br />15살부터 29살 사이 취업자는 올해 상반기 11만 5천 명 줄며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 상반기 이후 가장 많이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'경제 허리'로 불리는 40대 취업자 수도 1년 사이 8만 2천 명 줄었고, 30대와 50대 취업자는 각각 9만 천 명, 4만 3천 명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노년층이 올해 상반기 늘어난 일자리를 주도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상황에서 경제 성장을 위해서는 고령층 경제활동인구의 활용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경제협력개발기구, OECD는 노동 수명을 연장하고 노인 고용을 늘리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연공서열 위주의 임금 체계를 개선하고 명예퇴직을 제한하라고 권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한국은행도 1964년부터 1974년 사이에 태어난 2차 베이비부머 세대가 올해부터 은퇴하면서 연간 경제성장률을 0.38%포인트까지 낮출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상림 /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 : 노동시장·임금 개편이 있어야지 실제로 생산성이 올라가고요. 베이비부머 대량 은퇴 시기에도 계속 고용이 이뤄질 수 있고 노동시장의 경직성이 완화되면서 청년에게도 더 많은 일자리를 지어줄 수 있어요.] <br /> <br />노인 노동력은 늘고 있지만, 노인 일자리의 질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만큼 이를 높이기 위한 사회적 논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황보혜경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: 김희정 디자인: 이나영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황보혜경 (bohk1013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71415222070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