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카오, 신사업·쇄신 제동…카뱅 대주주 상실 가능성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창업자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이 구속 기로에 서면서 카카오를 둘러싼 사법 리스크가 최고조에 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카카오의 쇄신 작업과 AI 등 신사업이 멈춰설 뿐만 아니라 최악의 경우 카카오뱅크 1대 주주 지위를 내려놔야 할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김동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0여년 전 스타트업으로 출발해 혁신의 대표주자로 올라섰던 카카오.<br /><br />문어발식 확장과 경영진 먹튀 논란, 골목상권 침해 등으로 논란이 이어지며 국민적 신뢰를 잃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수장 교체와 외부 감시라는 대대적인 쇄신에 돌입했지만….<br /><br /> "카카오가 만들어낸 혁신만 강조했을 뿐 그 뒤편에서 피해를 받은 사람들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습니다. 외형적인 성장에 치우쳐 사회에서 요구하는 기준과 눈높이를 맞추지 못했습니다."<br /><br />결국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이 구속 기로에 서면서 창사 이후 최대 위기를 맞았습니다.<br /><br />검찰이 카카오모빌리티의 콜몰아주기 의혹, 드라마제작사 고가 인수 의혹 등도 수사 중인 만큼 사법 리스크가 더 커질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카카오의 경영 활동과 쇄신 작업에 큰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.<br /><br />지난달 신설한 인공지능 전담 조직 '카나나'를 통한 생성형 AI 등 신사업이 차질을 빚을 수 있고, 최악의 경우 핵심 자산 중 하나인 인터넷 전문은행 카카오뱅크의 1대 주주 지위를 내려놔야 할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벌금형 이상의 처벌을 받을 경우 인터넷은행 특례법에 따라 대주주 자격을 잃게 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위기를 맞은 카카오는 카카오게임즈, 카카오엔터테인먼트, SM엔터테인먼트 등 계열사를 매각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카카오가 사법 리스크의 중심에 서면서 그동안 집중했던 혁신도 사상누각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. (dk1@yna.co.kr)<br /><br />#카카오 #김범수 #구속영장 #구속기로 #쇄신 #신사업 #카카오뱅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