트럼프 곧 피격 후 첫 대중 연설…이 시각 밀워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잠시 후 대선 후보직 수락 연설을 하고 대권 도전을 공식 선언합니다.<br /><br />공화당 전당대회가 열리는 밀워키 현장을 연결합니다.<br /><br />정호윤 특파원, 트럼프 전 대통령 연설이 시작됐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연설은 아직 시작이 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제가 있는 이곳에 대한 좀 설명을 방송 전에 좀 드려야 될 것 같은데요.<br /><br />이곳은 공화당 전당대회가 열리고 있는 파이서브포럼 경기장 내부입니다.<br /><br />바로 10m만 가면 출입구가 있고요.<br /><br />그 안에서 지금 행사가 열리고 있는데 저희가 사실 방송 전에 그 출입구 안에, 행사장 안에서 방송을 전해드리려고 준비를 하다가 여기서는 방송을 하면 안 된다라는 통보를 받고 황급히 자리를 옮겼습니다.<br /><br />어제 같은 시간에는 분명히 안에서 방송을 했는데요.<br /><br />지금은 안 된다고 합니다.<br /><br />그만큼 트럼프 전 대통령 연설을 앞두고 분위기가 조금 더 삼엄하게 달라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보시기에는 굉장히 자유로워 보이고 굉장히 이렇게 웃음이 끊이지 않는 그렇게 보이겠지만 앞으로는 경호 인력들, 경찰 인력들이 수시로 왔다 갔다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곳에서도 방송을 하지 말라는 얘기를 불과 1분 전까지 들은 걸 저희가 사정사정을 해가면서 전해드리고 있는 점 먼저 말씀드리고요.<br /><br />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후보 수락 연설 2시간쯤 뒤에 시작을 합니다.<br /><br />나흘간 이어지고 있는 공화당 전당대회의 백미이자 가장 시선을 모으는 행사죠.<br /><br />연설 시간은 1시간 30분 정도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지금은 지지 연설들이 이어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지금 화면을 보면 마이크 폼페이오 전 국무장관, 트럼프 행정부 1기 때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과의 하노이 싱가포르 북미 회담의 실무책임자 역할을 맡았었죠.<br /><br />지금 지지연설을 하고 있고요.<br /><br />그리고 올드 팬들에게는 반가운 이름일 겁니다.<br /><br />프로레슬러 헐크 호건이 잠시 후에 또 지지연설을 하러 나오게 됩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어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장남에 이어서 오늘은 차남 에릭 트럼프가 찬조 연설자로 나서서 아버지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낼 예정이고요.<br /><br />그리고 나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연단에 오르게 되게 됩니다.<br /><br />오늘 연설이 특히나 관심을 모으는 건 바로 지난 주말 피격으로 부상을 입은 뒤 처음으로 대중 앞에서 입을 열기 때문일 겁니다.<br /><br />대선 후보 수락 연설이라는 상징성만으로도 주목을 끌 텐데 이런 극적인 요소까지 더해지면서 이곳 현장 분위기는 빠르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본인도 이 같은 높은 관심을 의식하고 있는 걸까요?연설 하루 전 동선을 점검하고 세부사항을 직접 챙기는 등 신중한 모습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 특파원, 연설 내용도 전망해보죠.<br /><br />트럼프 전 대통령이 기존에 작성해 놓은 연설문을 바꿨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여러분은 트럼프 전 대통령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.<br /><br />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빼놓을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상대를 몰아붙이는 거친 언변이 아닐까 싶은데요.<br /><br />전당대회를 앞두고 사전에 만든 연설 원고도 이런 성격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불의의 피격 사건이 벌어지고, 천신만고 끝에 전당대회에 참석하게 되면서 트럼프가 마음을 바꿨다고 측근들은 전했습니다.<br /><br />그 변화가 오늘 연설문에 고스란히 담길 거라는게 이 곳 전당대회장 주변 분위기인데요.<br /><br />바이든 정부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은 빼고 대신 미국의 미래와 통합에 무게중심을 둔 연설을 할거란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물론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운 대외 정책과 중국을 압박하는 통상 정책.<br /><br />또 불법 이민과 범죄에 대한 강력 대응 방침은 이제껏 트럼프 전 대통령이 강조해온 대로 오늘 연단에서 재확인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오늘은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장녀 이방카 트럼프가 전당대회장을 처음으로 찾을 것으로 전해지는 등 트럼프 일가도 총출동 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마지막으로 바이든 대통령과 민주당 쪽으로 시선을 옮겨보죠.<br /><br />코로나19 확진으로 칩거 중인 바이든 대통령이 더욱 수세에 몰렸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피격 사건 이후 트럼프의 인기가 고공 행진을 이어가는 것과 반대로 바이든 대통령의 상황은 그야말로 '엎친데 덮친격'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확진으로 발목이 묶인 사이, 대선 후보직을 내려놔야 한다는 압박이 더욱 거세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문제는 압박을 가하고 있는 주체입니다.<br /><br />어제는 민주당의 실질적 일인자인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가 바이든의 사퇴를 우회적으로 요구했죠.<br /><br />여기에 오바마 전 대통령까지 측근들에게 바이든의 사퇴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에겐 버팀목이자 민주당의 상징적인 인물들이 사퇴 요구에 가세하면서 이제 임계점에 다다랐다는 분석까지 나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확진 이후 유세를 중단하고 델라웨어주 사저에서 숙고하고 있는 바이든이 어떤 선택을 내릴 지 시선이 쏠립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공화당 전당대회가 열리고 있는 밀워키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. (ikarus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