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피격' 트럼프, 곧 대선후보 수락 연설…'통합' 강조할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잠시 후 대선 후보직 수락 연설을 하고 대권 도전을 공식 선언합니다.<br /><br />공화당 전당대회가 열리는 밀워키 현장을 연결합니다.<br /><br />정호윤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밀워키 공화당 전당대회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관식이 될 수락 연설 이제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후보 수락 연설은 우리 시간으로 오전 11시에 시작됩니다.<br /><br />나흘간 이어지고 있는 공화당 전당대회 백미이자 가장 시선을 모으는 행사인데요.<br /><br />이제 앞으로 한 시간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연설 시간은 1시간 30분 정도로 알려졌는데요.<br /><br />지금 이곳은 공화당 전당대회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연설을 할 파이서 스프롬 공원 현장에 바로 앞에 나와있습니다.<br /><br />저희가 이전에는 앞에 안에 들어가서 방송을 했었는데요.<br /><br />내부는 지금 MBC나 미국 MBC방송이나 CNN방송 그리고 포스트TV 같은 현지 방송을 제외하고는 안에서 내부에서 방송을 할 수 없도록 지금 보안요원들이 통제를 하고 있어서 저희가 부득이하게 밖에서 방송하고 있는 점 말씀드립니다.<br /><br />어제는 트럼프 대통령 전 대통령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가 아버지의 피격 당시 사진을 앞세워서 아버지를 존경하는 마음 그리고 추켜세우면서 함께 싸우자 이런 얘기를 하면서 분위기를 끌어올렸는데요.<br /><br />오늘은 차남 에릭 트럼프가 아버지의 연설 직전에 나와서 찬조 연설을 하게 됩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에릭 트럼프를 비롯하여 멜라니아 여사나 그리고 이방카 트럼프 지금까지 얼굴을 보이지 않았던 가족들이 총출동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연설이 특히나 관심을 모으는 건 바로 지난 주말 피격으로 부상을 입은 뒤 처음으로 대중 앞에서 입을 열기 때문일 겁니다.<br /><br />대선 후보 수락 연설이라는 상징성만으로도 주목을 끌 텐데 이런 극적인 요소까지 더해지면서 이곳 현장 분위기는 빠르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본인도 이 같은 높은 관심을 의식하고 있는 걸까요.<br /><br />연설 하루 전 동선을 점검하고 세부 사항을 등 챙기는 등 유독 신중한 모습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 특파원, 이제 연설까지 한 말씀해 주신 것처럼 40분 정도 남았고 저희도 생중계로 전해 드릴 텐데 연설 내용도 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전 대통령 기존에 작성해 놓은 연설문을 바꿨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여러분은 트럼프 전 대통령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.<br /><br />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빼놓을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상대를 몰아붙이는 거친 언변이 아닐까 싶은데요.<br /><br />전당대회를 앞두고 사전에 만든 연설 원고도 이런 성격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불의의 피격 사건이 벌어지고, 천신만고 끝에 전당대회에 참석하게 되면서 트럼프가 마음을 바꿨다고 측근들은 전했습니다.<br /><br />그 변화가 오늘 연설문에 고스란히 담길 거라는 게 이곳 전당대회장 주변 분위기인데요.<br /><br />바이든 정부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은 빼고 대신 미국의 미래와 통합에 무게중심을 둔 연설을 할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물론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운 대외 정책과 중국을 압박하는 통상 정책.<br /><br />또 불법 이민과 범죄에 대한 강력 대응 방침은 이제껏 트럼프 전 대통령이 강조해온 대로 오늘 연단에서 재확인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오늘은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장녀 이방카 트럼프가 전당대회장을 처음으로 찾을 것으로 전해지는 등 트럼프 일가도 총출동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마지막으로 바이든 대통령과 민주당 쪽으로 시선을 옮겨보죠.<br /><br />코로나19 확진으로 칩거 중인 바이든 대통령이 더욱 수세에 몰렸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피격 사건 이후 트럼프의 인기가 고공 행진을 이어가는 것과 반대로 바이든 대통령의 상황은 그야말로 '엎친 데 덮친 격'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확진으로 발목이 묶인 사이, 대선 후보직을 내려놔야 한다는 압박이 더욱 거세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문제는 압박을 가하고 있는 주체입니다.<br /><br />어제는 민주당의 실질적 일인자인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가 바이든의 사퇴를 우회적으로 요구했죠.<br /><br />여기에 오바마 전 대통령까지 측근들에게 바이든의 사퇴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에겐 버팀목이자 민주당의 상징적인 인물들이 사퇴 요구에 가세하면서 이제 임계점에 다다랐다는 분석까지 나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바이든을 대체할 후보로 자주 거론돼 왔죠.<br /><br />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 대신 선거 유세를 이어가며 시선을 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확진 이후 유세를 중단하고 델라웨어주 사저에서 숙고하고 있는 바이든이 어떤 선택을 내릴지 시선이 쏠립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공화당 전당대회가 열리고 있는 밀워키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. (ikarus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