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의 9월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 기대는 압도적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도 원-달러 환율은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트럼프 전 대통령이 환율시장의 변수로 꼽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형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는 9월 미국이 금리를 내릴 거라는 시장 기대는 90%가 넘습니다. <br /> <br />금리 인하 가능성은 달러 약세를 부추기지만, <br /> <br />원-달러 환율은 여전히 높습니다. <br /> <br />피격 이후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대선판을 뒤흔들면서, 큰 변수로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[문정희 / KB국민은행 수석연구위원 : (미국이 금리 인하하면) 다른 나라 통화들에 대한 기대심리가 좀 커질 수 있거든요. (그런데) 트럼프 당선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국 수출이나 아니면 반도체에 대한 약간 부정적인 우려들 이런 것들이 원화 강세를 제약하고 있지 않나….] <br /> <br />트럼프는 자국 수출에 도움이 될 '달러 약세'를 선호하기는 합니다. <br /> <br />'강달러'는 미국 제조업체에 재앙이라고 말할 정도지만, 구체적인 공약을 보면 얘기가 달라집니다. <br /> <br />'트럼프 노믹스'로 불리는 경제정책 핵심은 감세와 관세 인상입니다. <br /> <br />관세율을 올리면 수입 물가가 오르고, 여기에 대규모 감세까지 더해지면 인플레이션은 심해질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[허준영 /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 : 인플레이션에 대응하는 연준은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습니다. 결국은 달러로 쏠림현상이 일어날 수밖에 없거든요. 트럼프 2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올라가면서 어쨌든 달러가 강세가 되는….] <br /> <br />이에 전문가들은 원-달러 환율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[정철진 / 경제 평론가 : 원-달러 환율이 1,200원대로는 떨어져야 그래야 한국은행도 좀 마음 편히 금리 인하를 나서지, 여전히 1,300원대라고 하면 저는 한국은행이 10월도 주저주저할 것 같고요.] <br /> <br />트럼프 리스크가 커지면서 금리 인하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는 한국은행 부담도 덩달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형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:유준석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형원 (j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720020925461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