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의 폭염이 심상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중서부에서 시작된 기록적인 폭염이 동북부로 확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'열돔 현상'때문인데 절반 가까운 미국인이 폭염의 영향권에 놓였습니다. <br /> <br />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장기간의 폭염으로 사막 위의 도시 라스베이거스는 연일 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얼마 전에는 섭씨 49도로 역대 최고 기온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록이 시작된 1937년 이후 가장 극심한 무더위입니다. <br /> <br />[모건 스테스만 국립기상청 기상학자 : 지난 6월 이후 라스베이거스에서는 7번의 기록적인 최고 기온을 기록했으며, 그 중 4번은 최근 폭염 기간에 발생했습니다.] <br /> <br />네바다와 애리조나, 텍사스주 등 중서부에서 기승을 부리던 폭염은 동북부까지 세력을 넓혔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 맨해튼과 브롱크스를 잇는 3번가 다리가 폭염으로 고장을 일으켜 교통혼잡이 빚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DC와 보스턴, 볼티모어, 필라델피아 모두 기록적인 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발달한 고기압이 정체되면서 반구 형태의 막을 만들어 뜨거운 공기를 지면에 가둬놓는 '열돔 현상'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제프 마스터스 예일 기후대응모임 기상학자 : 돔을 형성하는 넓은 영역의 고기압이 바깥쪽으로 부풀어 올라와 있습니다. 이것이 열돔이라고 부르는 이유입니다. 바로 폭염입니다.] <br /> <br />기후변화가 가져온 지구온난화는 극 지방 기온을 높여 적도와 기온 차이를 줄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 공기 순환이 줄어들어 고기압을 정체시키고 열돔 현상을 부추깁니다. <br /> <br />힘이 세진 열돔은 중심에서 1,600km 떨어진 곳까지 강렬한 폭염을 내뿜습니다. <br /> <br />[윌리엄 처칠 국립기상청 기상학자 :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열돔 현상을 주도하는 상층 능선이 이른 여름이 이렇게 강한 것은 전례가 없습니다.] <br /> <br />미국인 1억5천만 명이 폭염 특보를 받았고, 이미 수십 명이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절정의 무더위는 네브래스카와 캔자스 등 중부지방도 강타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기후변화가 불러온 '열돔 현상'이 미국 전체를 뜨겁게 달구며 피해를 키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권영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:임현철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영희 (kwony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72003143099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