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연이은 대선 후보 사퇴 요구에도 불구하고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완주 의지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반면, 공화당 대관식을 마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미 재선에 성공이나 한 듯 차기 대통령급 행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최주현 특파원이 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공식 성명을 통해 '주말 사퇴설'을 일축했습니다. <br> <br>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델라웨어 사저에서 격리 중인 바이든은 "내주 선거운동에 복귀하기를 고대한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젠 오발리 딜런 / 바이든 캠프 선거대책위원장(MSNBC 인터뷰)] <br>"바이든은 이미 트럼프를 이겼던 경험이 있습니다. 그는 이기기 위해 남아있습니다. 그는 할 수 있습니다." <br> <br>하지만 민주당에서는 이미 바이든 사퇴 이후 절차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뉴욕타임스는 민주당 핵심인사인 낸시 펠로시 전 하원의장이 동료 의원들에게 "교체 후보는 승계가 아니라 경선으로 선출해야 한다"고 말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> <br>백지상태에서 새 후보를 뽑는 방식이어야 불리한 판세를 뒤집을 수 있다는 판단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바이든 캠프 내부의 불안한 기류 역시 포착됐습니다. <br> <br>채널A가 바이든 캠프에서 이미 바이든을 지지하기로 서약한 대의원에게 보낸 문자를 확보했는데, 곧 있을 대선 후보 선출 행사에서 실제로 바이든을 뽑을 것인지 물었습니다. <br><br>민주당 관계자는 "이런 질문을 하는 것 자체가 캠프의 불안함을 보여주는 것"이라며 "캠프 측이 여론을 확인하려는 목적"이라고 <br>평가했습니다. <br><br>미국 매체들은 바이든의 후보 사퇴를 공개 요구하는 민주당 내 현역의원이 35명에 이르렀다며 이들의 리스트를 보도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반면 트럼프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통화하며 공식 대선 후보로서의 일정을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트럼프는 통화 직후 "차기 대통령으로서 평화를 가져오고 전쟁을 끝날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.<br /><br /><br />최주현 기자 choig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