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름 장마로 인한 호우 피해가 큰 가운데 3호 태풍 '개미'까지 발생해 추가 피해에 대한 우려가 더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3호 태풍은 이번 주 중후반쯤 중국 남부에 상륙할 것으로 보이는데, 이후 진로가 무척 유동적입니다. <br /> <br />일부 모델은 태풍이 한반도를 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탭니다. <br /> <br />정혜윤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필리핀 동쪽 해상으로 강하게 발달한 소용돌이가 포착됩니다. <br /> <br />3호 태풍 '개미'의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아직 초기 단계지만 중심 부근으로 초속 20m 이상, 시속 70km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태풍은 북상하면서 더 강하게 발달할 전망인데 <br /> <br />이번 주 중후반쯤에는 초속 45m 이상, 시속 162km의 폭풍을 동반한 매우 강한 태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은 태풍 '개미'가 26일쯤 중국 남부 해안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태풍의 진로와 강도는 무척 유동적입니다. <br /> <br />예측모델마다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인데 <br /> <br />한국예측 모델인 KIM과 영국 통합예측모델인 UM은 태풍이 중국 동해안 따라 북상한 뒤 북쪽으로 더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유럽중기예보센터의 예측모델 ECMWF는 다음 주말과 휴일, 한반도로 방향을 틀어 휴전선 부근을 향할 걸로 분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직 유동적이지만 마지막 예측 모델처럼 태풍이 움직인다면 우리나라는 태풍의 직접 영향권에서 비바람 피해를 입게 됩니다. <br /> <br />다만, 기상청은 태풍이 중국 남부까지 북상해 다소 약화할 수 있는 데다 중국 내륙으로 더 서편할 수 있어 당분간은 진로를 단정하기 힘들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김영준 / 기상청 예보분석관 : 대만 부근 중국 남부까지는 해수면 온도가 높은 사항이 있습니다. 따라서 대만에서 중국 남부까지는 충분히 발달할 수 있겠고, 그보다 북쪽에서는 수온이 낮기도 하고 내륙으로 들어가게 되면 수증기 공급이 차단돼 약화할 수 있는 조건입니다. 태풍이 어떤 경로를 택하느냐에 따라서 변동성이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베트남 다낭 해상에서 제4호 태풍 '프라피룬'도 발생했지만, 우리나라에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태풍의 북상과 함께 이번 주 우리나라는 장맛비와 찜통더위가 공존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월요일 새벽과 화요일 새벽에는 정체전선 영향으로 수도권에 또 한번 최고 80mm의 국지성 호우가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혜윤 (jh030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4072118393635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