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실상 후보로 확정돼 수락연설만 남기고 있던 바이든 대통령이 대선 레이스에서 하차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유사한 사례로 다시 조명되는 인물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1968년 제36대 린든 존슨 대통령인데요. <br /> <br />과거 존슨 대통령은 왜 하차했고, 이후 대선 결과는 어떻게 됐을까요? <br /> <br />살펴보시죠. <br /> <br />린든 존슨 대통령은 원래 존 F. 케네디 행정부의 부통령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1963년 11월 케네디 대통령이 암살되면서 곧바로 제36대 대통령에 취임하게 되죠. <br /> <br />이후 1964년 대선에서 미국 역사상 가장 압도적인 표 차로 승리하며 재선에 성공합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3선에 도전할 시기인 1968년 3월, 베트남전에 대한 반전 여론이 높아지며 존슨 대통령의 지지율은 급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곧이어 열린 민주당 대선후보 예비경선에서 대권 경쟁자로 꼽히던 유진 매카시 상원의원은 존슨 대통령의 뒤를 바짝 추격했는데요. <br /> <br />여기에 케네디 전 대통령의 동생 로버트 F. 케네디 전 법무장관의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기 시작하자 <br /> <br />존슨 대통령은 당내 입지가 흔들리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'결단의 순간'을 불러온 것은 경제였습니다. <br /> <br />베트남 전쟁으로 막대한 재정적자를 본 미국의 금 태환 능력에 대한 의심이 고개를 든 건데요. <br /> <br />쉽게 말해 미국이 찍어낸 달러만큼 금을 보유하고 있느냐는 건데, <br /> <br />이러한 불안감에 미국 정부에 예치돼 있던 금을 앞다퉈 빼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경제 위기론이 더욱 불거지자 결국, 린든 존슨 대통령은 3선 도전을 포기했습니다. <br /> <br />찬사가 이어졌지만, 결국 이후 대선에서 민주당은 결국 패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바이든 대통령의 사퇴를 요구하던 측은 이 린든 존슨 대통령의 사례를 들어 '대승적 결단'을 내려줄 것을 설득해왔는데요. <br /> <br />그러나 바이든 대통령 입장에서는 과거 존슨 대통령의 하차가 결국 대선 패배로 이어진 것도 사실이기에 고심하지 않을 수 없었겠죠. <br /> <br />그래도 이번엔 질서가 빠르게 회복돼 과거와 달리 성공적인 결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56년 만의 현직 대통령 대선 포기, 세계의 이목이 지금 워싱턴에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72211174171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