김민기는 군부독재 시절 노래 '아침이슬' '상록수' 등 민중가요 작곡가로 이름을 널리 알렸죠. <br /> <br />이와 함께, 대학로 소극장의 상징 '학전'을 30년 넘게 운영하며 황정민·조승우 같은 걸출한 배우를 배출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(이어서) 김승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"긴 밤 지새우고 풀잎마다 맺힌" <br /> <br />1987년 민주항쟁 당시 군부독재에 맞서 시민들이 목놓아 부른 저항의 상징 '아침 이슬' <br /> <br />우리 곁을 떠나간 김민기의 삶은 '아침 이슬' 그 자체였습니다. <br /> <br />노래들이 줄줄이 금지곡으로 지정되자 봉제 공장 등에서 일하며 생계를 꾸리면서도, <br /> <br />'상록수' 등을 꾸준히 발표하며 음악을 놓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'상록수'는 맨발 투혼으로 미 LPGA에서 우승한 박세리의 공익광고 음악으로 쓰이며 IMF 시절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1991년 김민기는 '배움의 밭'이란 뜻의 대학로 소극장 '학전'을 통해 인생의 2막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누적 관객 수 70만 명을 넘었던 창작 뮤지컬 '지하철 1호선' 등 350개가 넘는 작품을 기획해 황정민, 조승우 같은 유명 배우들을 탄생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[황정민 / 배우 (지난 2006년) : (3,000회 공연이라) 저는 너무 감개무량합니다. 한편으로 실수나 하지 않을까 많이 떨리기도 하고요.] <br /> <br />[조승우 / 배우 (지난 2006년) : 식구 같은 분위기로 모여서 공연할 수 있다는 게 정말로 큰 의미인 것 같고…] <br /> <br />김민기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대학로를 지킨 공로로 2018년 은관문화훈장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[김민기 / 당시 학전 대표 (2018년) : 저 때문에 지금 고생하는 우리 학전 식구들하고 저희 집 식구들한테 주시는 선물로 알고 고맙게 잘 받았습니다.] <br /> <br />나서기보단 늘 그림자를 자처했던 김민기가 남긴 삶의 궤적은 영원히 사람들의 마음속에 자리하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승환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이영재 <br /> <br />영상편집 이은경 <br /> <br />디자인 백승민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승환 (sunny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4072301184033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