현재 우리나라 인터넷 전문은행은 2017년 출범한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와 함께 2021년에 사업을 시작한 토스뱅크까지 3곳입니다. <br /> <br />3사의 이용 고객 수는 올해 약 4,300만 명을 넘기며 시중 은행을 위협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카카오뱅크는 지난 1월 고객 2,30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. <br /> <br />단순 계산으로 출범 후 6년 6개월 동안 하루에 만 명씩 가입한 셈이죠. <br /> <br />케이뱅크는 지난 2월 가입 고객 천만 명을 달성했고요, 뒤이어 토스뱅크는 4월에 천만 명을 돌파했습니다. <br /> <br />인터넷 은행은 기존 은행에서는 시행하기 어려운 정책들로 고객 가입을 유도해왔는데요. <br /> <br />카카오뱅크에 따르면 수수료 면제와 캐시백 등으로 지난해 말까지 고객에게 지원한 금융 비용이 약 9천억 원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인터넷 은행들이 수수료 면제 등 무료 정책을 펼치며 인기를 끈 데에는 기존 은행과 달리 점포가 없어 임대료와 인건비 등 오프라인 영업 비용을 크게 줄인 이유가 컸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 첫 인터넷 은행인 케이뱅크가 이체 수수료와 ATM 출금 수수료 무료 정책을 펼치자 전통 은행권에서도 고객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수수료 인하 바람이 불기도 했죠. <br /> <br />그런데 업계 1위 카카오뱅크의 주인이 바뀔 수 있다는 매각설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구속된 카카오 창업주 김범수 위원장이 유죄 판결이 날 경우 양벌규정에 따라 카카오도 유죄가 확정되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그렇게 되면 카카오는 인터넷은행 특례법에 따라 현재 보유 중인 카카오뱅크 지분 27.17% 중 10%만 남기고 나머지는 처분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장원석 (wsday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72419062036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