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수련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개원가로 몰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7,600여 명이 한꺼번에 일명 페이 닥터 구직 활동에 나서면서 지원서가 넘쳐나다보니 월급이 거의 반토막 났습니다. <br> <br>김민환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봉직의, 일명 페이닥터를 모집하는 병원입니다. <br> <br>평소 야간 당직 의사를 구하기가 어려웠는데 최근엔 상황이 달라졌습니다. <br> <br>사직 전공의들이 수련병원으로 돌아가지 않고 구직 활동을 택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수도권 병원 관계자] <br>"많이 늘었죠. 지원자들이 많아졌죠. 두 배 정도 늘었다고 봐야죠." <br> <br>[지역 병원 관계자] <br>"(지원이) 많이 늘어난 것 같은데." <br> <br>사직 전공의 7,600여 명이 개원가로 몰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전문의가 아닌 일반의 자격입니다. <br> <br>의사 전용 구인 구직 온라인 플랫폼에 등록된 채용공고만 1,700건에 달할 정도입니다. <br><br>최근 채용공고를 낸 한 성형외과 의원 관계자는 "의사 2~3명을 뽑는 데 한 달에 10개 들어오던 이력서가 요즘에는 하루 10개씩 들어온다"고 말했습니다. <br><br>구직자가 늘다보니 세후 천만원 수준이던 월급은 400~500만 원 선까지 떨어진 곳도 등장했습니다. <br><br>지난해 기준, 일부 대기업 신입 초봉 수준입니다. <br><br>의사 단체들은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[박근태 / 대한개원의협의회장] <br>"전공의들 어쨌든 '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되지 않겠느냐'라는 건 이미 합의가 이뤄졌습니다. 어떤 지원책을 상세하게 고민을 해보려고…" <br> <br>복지부는 오늘도 사직 전공의들을 향해 "본래의 자리에 복귀해 주길 바란다"고 당부했지만 <br> <br>전공의들은 여전히 돌아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민환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추진엽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김민환 기자 kmh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