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일본 사도광산이 내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사도광산, 일제 강점기 때 수천 명의 조선인이 강제노동을 했던 우리에겐 아픔의 장소죠.<br> <br>이런 아픔의 역사를 전시로 알리는 조건으로 우리 정부가 합의해줬다는데, 제대로 할까요?<br> <br>도쿄에서 김민지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일본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전망입니다. <br><br>외교부 당국자는 이변이 없는 한, 내일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사도광산이 등재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 때 사도광산서 일한 조선인 노동자의 역사를 알리겠다고 잠정 합의한 겁니다. <br><br>외교부 당국자는 일본 정부가 사도광산의 전체 역사를 반영하겠다고 약속했고 실질적인 조치도 이미 취해 등재에 동의했다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지난 2015년 일본 군함도 등재 때 이행 약속만 받았던 것과 달리,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조치를 이끌어냈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><br>일본 아사히신문은 "조선인 노동자가 포함된 전체 역사가 사도광산 현지서 전시될 것"이라고 보도했습니다.<br><br>니가타현 사도섬에 위치한 사도광산은 에도시대 금광으로 유명했고 1940년대 태평양 전쟁 시기엔 전쟁 물자 확보를 위해 최소 1천 5백 명 조선인이 동원돼 강제 노동해 온 걸로 알려집니다.<br> <br>하지만 일본 정부는 유네스코에 에도시대 역사에 대해서만 세계유산 등재를 신청했다 보류를 권고 받았습니다. <br> <br>[다케우치 야스토 / 일본 역사학자] <br>"(조선인 노동자의) 존재를 전시하는 게 아니라, 강제 노동의 존재를 명확히 하는 게 중요합니다." <br><br>9년 전 군함도 등재 때와 달리, 이번 사도광산 등재 이후 일본정부가 강제 노동 역사를 알리는 제대로 된 조치를 이어갈지 주목됩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채널A뉴스 김민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박용준 <br>영상편집:형새봄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ettymo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