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 포함 세계유산위원회 21개 회원국 전원 동의 <br />日, 사도광산 인근 한국 노동자 기리는 전시물 설치 <br />가혹한 노동 조건 보여주는 자료들도 함께 전시 <br />"옛 사도광산 관리사무소에 자료 전시돼 의미 있어"<br /><br /> <br />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일본의 사도광산을 세계문화유산에 올리기로 만장일치로 결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사도광산에서 자행된 강제동원 관련 사료와 증거물들을 현장에 전시하고 해마다 추도식도 열겠다고 약속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대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7세기부터 일본 최대 규모 금광으로, 에도 시대를 상징하는 문화유산인 사도광산은 일제 강제동원의 역사를 간직한 현장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회의 시작 30여 분만에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결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21개 회원국 전원이 동의해야 하는 만큼, 우리 정부 역시 찬성표를 던졌습니다. <br /> <br />강제동원을 포함한 광산의 역사 전체를 현장에 반영하라는 요구를 일본이 수용한 게 결정적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광산에서 차로 5분 거리 박물관에는 한국인 노동자들을 기리는 전시물도 이미 설치됐습니다. <br /> <br />[이호령 /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센터장 : 일본이 원하는 것만 소개하지 말고 그동안에 우리가 강제징용노동자들이 여기에서 얼마나 고생했는지에 대한 그 역사 부분도 다 소개를 하라고 해서 그러한 부분이 합의돼서….] <br /> <br />한국인 노동자 모집과 알선에 조선총독부가 관여했다는 내용이 담겼고, 임금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는 등 가혹한 노동 조건을 보여주는 자료도 전시됐습니다. <br /> <br />외교부는 이런 자료들이 사도광산 관리사무소였던 곳에 전시된 것도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산 등재 결정 이후 주 유네스코 일본 대사는 한국인 노동자를 포함한 모든 사도광산 노동자를 진심으로 추모한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매년 추도식도 열기로 약속했습니다. <br /> <br />외교부는 일본이 이미 조치를 이행한 만큼 지난 2015년 일본이 약속을 제대로 지키지 않았던 군함도 세계유산 등재 때와는 상황이 다르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일본이 앞으로 남은 약속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진정성이 담길지가 관건이라는 평가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김대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김지연 <br />디자인 : 오재영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대겸 (kimdk1028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72718464392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