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임신 6주 이후로 낙태를 전면 금지한 낙태 금지법, 미국 대선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습니다. <br> <br>해리스 부통령이 이 법은 트럼프 법이라 비판하며, 여성 지지층 공략에 나섰거든요.<br> <br>워싱턴에서 최주현 특파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현지시각 어제 미국 아이오와주에서 임신 6주 이후 낙태를 금지하는 법이 시행됐습니다. <br> <br>민주당 유력 대선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즉각 성명을 내고 이 법을 '트럼프 낙태금지법’이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[카멀라 해리스 / 미 부통령] <br>"아이오와주는 22번째로 '트럼프 낙태금지법'을 시행했습니다. 미국에서 가임기 여성 3명 중 1명이 이 법에 지배 받습니다.“ <br><br>아이오와주 법 시행의 계기가 된 것이 2년 전 미 연방대법원의 낙태권 인정 폐기 결정인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 시절 임명된 대법관들이 주도했다는 겁니다.<br> <br>낙태권 보호를 주장하는 해리스는 트럼프 맹공을 통해 여성 지지자들을 결집시키려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특히 때마침 트럼프의 러닝메이트인 J.D. 밴스 상원의원이 과거 "강간 피해 여성의 낙태도 안 된다"는 발언으로 비난을 받자 공세의 고삐를 더 조이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이런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트럼프 때리기로 해리스 지원사격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4년 전 트럼프의 대선 뒤집기 혐의에 대해 최근 미 연방대법원이 면책 특권을 인정한 것이 잘못이라며 대법관 임기에 제한을 둬야 한다고 주장한 겁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"대통령은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는데 따르는 책임을 져야 합니다. 우리는 법치 국가이지 왕국이나 독재국이 아닙니다." <br> <br>이와 관련해 해리스도 성명을 내고 대법원이 신뢰 위기를 겪고 있다며 연방대법원 개혁을 촉구했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: 김태균<br /><br /><br />최주현 기자 choig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