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번 장마 때는 유난히도 극한 호우가 잦았습니다.<br> <br> 이런 물폭탄과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서, 댐 건설이 재개됩니다. <br> <br>14년 만인데요. <br><br>후보지는 14곳입니다.<br> <br>장하얀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환경부가 발표한 기후대응 댐 후보지는 14곳입니다. <br><br>홍수조절 댐 7곳, 용수전용 댐 4곳을 포함해 다목적 댐도 3곳 포함됐습니다. <br><br>[김완섭 / 환경부 장관] <br>"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물그릇만으로는 극한 가뭄과 장래 늘어나는 물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. 최근의 급속한 기후변화를 감안할 때 더 이상 머뭇거릴 시간이 없습니다." <br> <br>환경부는 댐이 만들어지면 200년 만에 한 번 내리는 양, 즉 '200년 빈도'의 집중 호우가 오더라도 수용할 수 있는 홍수 방어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고 설명합니다. <br> <br>지난해 3명의 인명피해와 117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한 경북 예천 홍수 사태 같은 일은 없을 거라는 겁니다. <br> <br>국내 신규 댐 건설은 2010년 착공된 보현산 다목적 댐 이후 14년 만입니다. <br> <br>국가 주도 댐 건설을 중단한다는 2018년 문재인 정부 선언을 뒤집는 것이기도 합니다. <br> <br>환경단체는 기후위기를 볼모로 토건 산업을 살리려는 거라고 반발했습니다. <br><br>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한 "4대강 사업을 정당화 하고 과거 물관리 정책으로 회귀하겠다는 선언"이라는 겁니다. <br><br>환경부는 다음 달부터 주민 공청회 등 과정을 거쳐 이르면 2027년 일부 착공에 들어갈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장하얀 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방성재<br /><br /><br />장하얀 기자 jwhit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