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고 김대중 전 대통령 주변 정치인을 '동교동계'라고 불렀죠. <br> <br>김 전 대통령이 서거 때까지 쭉 산 사저가 동교동이라서 그렇습니다. <br> <br>역사가 담긴 곳이라 기념관으로 사용할 줄 알았더니, 이미 100억 원에 매각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이 사저의 상속인인 삼남 김홍걸 전 의원이 판 건데요. <br> <br>상속세 때문이라는데 형제끼리 논의는 없었던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구자준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빨간 지붕과 담벼락, 갈색 대문을 가진 주택 문패에 김대중, 이희호라는 이름이 보입니다. <br> <br>고 김대중 전 대통령이 지난 1961년 입주해 망명과 유학, 일산 사저 생활을 제외하고 2009년 서거할 때까지 지냈던 서울 마포구 동교동 사저입니다. <br> <br>2019년 이희호 여사가 별세한 뒤 삼남이자 이 여사의 친자인 김홍걸 전 의원이 상속했습니다. <br> <br>이 여사는 동교동 사저를 김대중·이희호 기념관으로 사용한다는 유언을 남겼고, 김 전 의원도 이 사저를 기념관으로 만들겠다고 얘기해왔습니다. <br> <br>[김홍걸 / 고 김대중 전 대통령 삼남 (지난 2021년)] <br>"이 건물을 기념관으로 만들어서 많은 국민들이 와서 보실 수 있는 그런 시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." <br><br>하지만 김 전 의원은 지난 2일 동교동 사저를 100억 원에 매각했습니다. <br><br>김 전 의원은 채널A에 "상속세 문제 때문에 세무서의 독촉을 계속 받아 이미 작년에 매각을 결정한 것"이라며 "사적인 문제"라고 선을 그었습니다.<br> <br>김 전 의원은 사저 매입자가 공간 일부를 보존해 김 전 대통령의 유품을 전시하기로 약속했다고 전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매각 결정 과정은 형제끼리 논의하지 않은 걸로 전해집니다. <br><br>차남인 김홍업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은 채널A와의 통화에서 "매각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"며 "역사적 장소를 지키고 싶어도 방법이 없다"고 했습니다.<br> <br>김대중 재단 관계자도 도저히 수긍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안타까운 마음을 전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구자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박희현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구자준 기자 jajoonnea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