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저출생 극복을 위해 지자체들이 앞다퉈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 8살 이하 자녀를 둔 서울시 공무원들은 내일부터 일주일에 한 번은 재택근무를 합니다.<br> <br> 충남 공주시도 비슷한 제도를 시행합니다.<br> <br>강태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오후 5시, 서울시 공무원 이윤재 씨가 어린이집에서 아이를 데리고 나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자 신발 신고~" "자 가자." <br> <br>퇴근 때까지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직장 어린이집이 있어 편하지만, 아이와 함께 출근하는 매일 아침 시간은 정신없이 바쁩니다. <br> <br>[이윤재 / 서울시 공무원] <br>"좀 멀리서 와서 거의 1시간 가까이 걸립니다. (등하원 시간이 길면)일에 충분히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 수밖에 없으니까." <br> <br>내일부터 8살 이하 아이가 있는 서울시 공무원은 일주일에 4일만 출근하고 하루는 의무적으로 재택근무를 하게 됩니다. <br> <br>눈치 보지 말고 일과 육아를 병행하도록 지원하자는 취지입니다. <br><br>서울시 설문조사 결과 육아를 하는 공무원의 89%는 '재택근무가 일과 육아 병행에 도움이 된다'고 답했습니다.<br> <br>[서울시 공무원] <br>"(출퇴근) 왕복으로 한 1시간 40분 정도 걸리니까 그 시간을 육아에 쓸 수 있는 거죠." <br> <br>충남 공주시도 내일부터 주 4일제를 시작합니다. <br> <br>3세 미만 자녀를 둔 직원은 주 1일 재택근무를 하거나 4일간 10시간씩 근무한 뒤 하루를 쉬는 방식입니다. <br> <br>[공주시 관계자] <br>"주 4일 출근을 한다고 하면 저출산 극복하는데 좀 도움이 되지 않을까…" <br> <br>저출산 해소를 위한 지자체의 지원책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태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김기열 <br>영상편집: 김문영<br /><br /><br />강태연 기자 tang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