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수도권 시민들의 식수원인 소양호가 초록빛으로 변했습니다.<br> <br>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녹조가 발생한 건데요.<br> <br>식수 공급에 당장 큰 문제는 없지만 폭염이 계속되면 더 심해질 수 있어 걱정입니다.<br> <br>강경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강물이 물감을 풀어놓은 듯 녹색으로 변했습니다. <br> <br>수면엔 이물질이 둥둥 떠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녹조가 발생한 겁니다. <br><br>소양호 상류에서 물을 떠 보겠습니다. <br> <br>눈으로 보기에도 녹색 빛을 띱니다. <br><br>지난 25일부터 처음 관측된 이후 한때 소양강댐으로부터 상류 6㎞ 지점까지 녹조가 관측됐습니다. <br> <br>장맛철 많은 비로 유해 물질이 유입된 이후 급격히 더워진 날씨에 녹조 확산이 빨라진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> <br>소양호에서 물고기를 잡는 어민들은 비상입니다. <br> <br>절반 이상이 조업을 포기했습니다. <br> <br>[소양호 어민] <br>"(녹조가) 아주 쥐약이죠. 생물이 존재할 수 없는 현상인데 거의 고기가 없다시피 해요.한창 어획량을 올릴 때인데 하늘만 쳐다보고 있는 거죠." <br> <br>녹조 발생 지점과 취수장까지는 50km 이상 떨어져 당장 식수 공급엔 문제가 없습니다. <br> <br>문제는 앞으로 닥칠 폭염입니다. <br> <br>현재 소양강 수온은 평균보다 3도 이상 높은 28도, 폭염으로 수온이 더 오르면 상황은 더 심각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[이택수 / K-water 소양강댐 지사 관리부장] <br>"햇빛이 비칠 때는 (수온이) 30도가 넘고요. 계속 또 폭염이 지속이 되면 다시 재발할 우려가 있는 상황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수자원공사와 강원도는 인력과 장비를 동원해 녹조제거 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피해지역이 워낙 넓다보니 제 모습을 찾기까진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경모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김민석 <br>영상편집: 이승은<br /><br /><br />강경모 기자 kk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