판매대금을 제때 정산하지 못하고 있는 티몬·위메프 사태의 파장이 공연계까지 번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'코로나'에서 겨우 벗어난 공연계로서는 뜻하지 않은 돌발악재에 고민이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여름에 열렸던 대중음악 페스티벌입니다. <br /> <br />대규모 야외 공연장에서 공연과 먹거리, 각종 문화 행사가 어우러진 복합 축제 상품들입니다. <br /> <br />축제는 성공적으로 열렸지만 정작 기획사는 일부 행사의 입장권 판매 대금을 아직 받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 예정된 행사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[김은성 / 비이피씨탄젠트 대표 : 3개 페스티벌의 티켓을 팔았는데, 대략적으로 손해 금액은 10억 정도 되는 것 같아요. 10억이라는 금액이 작은 금액은 아니지만 그래도 관객을 얻는다는 마음으로 이번에 저희 티켓을 구매해주신 분들에게는 티켓을 보내드릴 예정입니다.] <br /> <br />티몬·위메프 사태로 피해를 본 회사들은 대부분 축제 형식의 공연을 만드는 대형 기획사들입니다. <br /> <br />연극과 뮤지컬, 클래식 공연 등은 기존의 예매 업체들이 시장을 선점했고 위메프 등은 야외 페스티벌 상품 예매에 주력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작은 공연 기획사들도 대부분 예매와 동시에 바로 대금을 받았고 자체 예매 시스템을 갖춘 대형 공연장도 불똥을 피해갔습니다. <br /> <br />[김지민 / 세종문화회관 공연장운영팀장 : 세종문화회관의 경우에는 자체 매표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서 위메프로 예매한 관객은 소수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. (또한) 위메프로 예매한 관객들에 대해서도 관람하시는데,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해서 노력 중에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인터넷 플랫폼 기업을 통한 공연 입장권 판매는 이미 일반화된 만큼 사태가 재연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다른 업종과 마찬가지로 플랫폼 기업의 회계 처리와 대금 정산 방식, 시기 등은 상당한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박순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:신수정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순표 (s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4080119110134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