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독일이 오늘 정전협정을 관리하는 유엔군사령부 회원국으로 정식 가입했습니다. <br> <br>한반도에 전쟁이 다시 터질 경우 독일은 더 신속하게 병력을 보낼 수 있게 됐는데요. <br><br>지난 문재인 정부 반대로 무산됐었는데 윤석열 정부는 반기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용성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1950년대 한국 전쟁 이후 독일은 부산에 서독 적십자 병원을 짓고 부상자와 민간인 치료 지원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[대한뉴스(1959년 3월)] <br>"이 서독 병원은 지나간 5년 동안 31만 명의 한국인 환자를 치료해줬고…" <br> <br>이 공로로 2018년 우리 정부로부터 뒤늦게 의료지원국으로 인정받았습니다. <br> <br>그런 독일이 오늘 유엔군사령부에 가입했습니다. <br> <br>유엔사 가입은 2013년 이탈리아의 재가입 이후 11년 만입니다. <br> <br>캠프 험프리스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독일 국방장관은 폴 러캐머러 유엔군사령관에게 독일 깃발을 전달했습니다. <br> <br>[보리스 피스토리우스 / 독일 국방장관] <br>"유엔군사령부 정회원국으로서 독일은 한반도의 국경을 보호하는 책임을 공유할 것입니다." <br> <br>정전협정 유지와 한반도 유사시 전력지원 역할을 맡는 유엔사는 독일의 참가로 회원국이 18개국으로 늘었습니다.<br> <br>독일은 2019년 문재인 정부 때도 가입을 희망했지만 당시 정부가 반대해 무산됐었습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이번 가입을 통해 독일은 2차 세계대전 전범국의 이미지를 희석시키고 한국은 대북 억지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유엔사는 한반도 유사시에 유엔 안보리 결의 없이도 신속하게 회원국의 병력을 지원할 수 있어 북한이 확대를 경계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에 독일 측은 "국제 질서에 대한 약속을 지키고 있을 뿐"이라며 도발로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용성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이호영 <br>영상편집: 배시열<br /><br /><br />김용성 기자 drago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