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진숙 방통위원장은 탄핵안 통과로 직무가 정지됐습니다. <br><br>자진사퇴로 피할 수 있었지만 대통령실도 이번엔 정면돌파를 선택했습니다. <br> <br>직무정지를 감수하고서라도 헌법재판소 판단을 받아보겠다고요.<br><br>이 위원장 탄핵을 북한의 오물풍선에 비유하며 민주당을 맹비난했습니다. <br> <br>최승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이진숙 방통위원장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한 지 15분 만에 대통령실은 공식입장이라며 작심발언을 쏟아냈습니다. <br><br>22대 국회 들어 9일에 1번꼴로 탄핵을 남발한다며 야당의 탄핵을 북한의 오물 풍선에 비유했습니다. <br> <br>[정혜전/ 대통령실 대변인] <br>"북한이 오물풍선을 보내는 것과 야당이 오물탄핵을 하는 것이 대체 무슨 차이가 있는지 되묻고 싶습니다. 대체 누구를 위한 탄핵입니까?" <br> <br>그러면서 자진사퇴한 전임 방통위원장들과 달리 이번에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겠다고 정면 돌파를 선언했습니다. <br> <br>[정혜전 / 대통령실 대변인] <br>"야당의 탄핵 폭주에 맞서 이진숙 위원장은 당당히 헌재의 심판을 받을 것입니다. 윤석열 정부의 발목 잡기를 넘어서 대한민국의 발목을 잡는 것입니다. 야당은 민심의 역풍이 두렵지 않습니까?" <br><br>이진숙 위원장도 직무정지 이후 입장문을 내고 "이제는 이런 악순환을 끊을 때"라며 "야당의 탄핵소추라는 횡포에 당당히 맞서고자 한다"라고 밝혔습니다. <br><br>헌법재판소에서 판결이 나올 때까지 직무정지를 감수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국민의힘 한 의원은 "탄핵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민주당 탄핵남발의 부당함을 쌓아놓을 필요가 있다" 라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또 다른 의원도 "2인 체제 의결의 정당성을 오히려 확보할 수 있는 기회" 라고 밝혔습니다. <br><br>방통위는 김태규 부위원장이 위원장 직무대행을 맡는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승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김기태 홍승택 <br>영상편집: 이희정<br /><br /><br />최승연 기자 suu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