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검찰이 야당 의원과 보좌진, 언론인들의 통신자료를 전방위로 조회한 사실이 뒤늦게 당사자에게 통지되면서 민주당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치 사찰을 했다, 독재의 민낯이라고요. <br> <br>검찰은 합법적인 단순 조회라고 해명했는데요. <br> <br>누구 말이 맞는 걸까요. 박자은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검찰이 이재명 전 대표를 비롯해 민주당 의원, 보좌진, 언론인을 대거 통신정보조회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민주당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검찰은 지난 대선 당시 김만배-신학림의 여론조작 의혹과 관련한 수사 과정에서 지난 1월 이들의 통신 정보를 조회했고 이를 7개월 뒤에 당사자들에게 통보했습니다. <br> <br>[박찬대 /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] <br>"윤석열 정권의 추악한 독재 민낯이 만천하에 드러났습니다. 검찰이 수천 명을 상대로 전방위적 통신 사찰을 해왔던 사실이 드러났습니다." <br> <br>당 취합 결과 최소 50명 이상이 통신 정보 조회 통보를 받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> <br>검찰은 합법적인 단순 조회였다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검찰 관계자는 "피의자나 참고인들이 누구와 통화했는지 조회하는 수준이었다"며 "통화 내역이 포함되지도 않고 수사 대상도 아니다"고 해명했습니다.<br> <br>3년 전과 여야 입장은 바뀌었습니다.<br><br>문재인 정부 시절 공수처가 이성윤 당시 서울고검장의 공소장 유출 의혹을 수사하며 통신자료를 조회하자 국민의힘 의원들이 반발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[김기현 /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 (2021년 12월)] <br>"수사의 기본이라고요? 사찰의 기본이고, 감옥 가는 게 기본입니다." <br><br>[윤호중 / 당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(2021년 12월)] <br>"공수처의 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국회가 좀 자제해야 될 일이 아닌가 싶은데요."<br><br>검찰의 통신조회가 최대한 제한적으로 투명하고 엄격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자은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: 이 철, 정기섭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br /><br /><br />박자은 기자 jadooly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