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건강한 사람도 이러다 쓰러지겠다 싶은 더위죠.<br><br>실제 온열질환 환자도 1,690명이나 발생했는데, 폭염을 잘 견디려면 어떤 옷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지 홍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연이은 폭염에 온열질환 사망자가 주말에만 5명 늘어, 올 들어 14명입니다.<br> <br>온열질환자 수도 1,690명으로 늘었습니다. <br> <br>폭염에는 어떤 옷차림이 좋은지 실험해봤습니다. <br> <br>오후 3시쯤 색깔만 다른 같은 소재의 반팔 티셔츠를 야외에 뒀더니, 검은 옷은 37.8도, 흰옷은 36.5도로 1도 넘게 차이가 납니다. <br> <br>잠시 바람이 불어 시원해져도 온도 차는 여전합니다.<br><br>옷색이 밝을 수록 열을 덜 흡수해 <br>상대적으로 시원한 겁니다. <br> <br>[황지환 / 대한의사협회 기획자문위원 (피부과 전문의)] <br>"빛에너지가 반사되다 보니까 흡수되는 빛에너지가 적어서 열도 적게 흡수된다고 얘기할 수 있겠습니다." <br> <br>아주 덥지 않은 날씨엔 소량의 땀을 잘 흡수하는 면 소재가 적합하지만 요즘 같은 폭염엔 땀을 빨리 증발시키는 폴리에스터 같은 합성섬유가 더 낫다는 조언입니다.<br> <br>[박정희 / 서울대 의류학과 교수] <br>"땀을 많이 흘려서 입을 땐 안에 면 내의 입으면 효과 없어요. 바로 흡한속건 소재가 바로 피부에 닿아서 흐르는 땀을 증발시켜야죠." <br> <br>또 옷을 헐렁하고 적게 입어 통풍이 잘 돼야 시원하게 느껴진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> <br>역대급 폭염에 행정안전부는 17개 시도에 현장상황관리관을 파견해 폭염 대처 상황을 점검합니다.<br><br>폭염을 재난에 포함한 2018년 이후 첫 파견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홍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강철규 <br>영상편집: 정다은<br /><br /><br />홍란 기자 hr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