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가 다시 무서운 기세로 확산하는데, 고위험 환자에게 처방해야 할 치료제 물량이 크게 부족하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. <br /> <br />수도권은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지만 비수도권 치료제 공급은 더 더디게 이뤄져, 당장 증상이 심한 환자들조차 감기약으로 버티는 실정입니다. <br /> <br />김근우 기자가 현장 목소리 들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19 치료제를 취급하는 대구의 약국입니다. <br /> <br />이달 들어 매주 70명 넘는 환자가 치료제를 처방받아 이곳을 찾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재유행이 심각해지면서 한 달 전보다 10배 넘게 환자가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절반 이상은 헛걸음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고위험군 환자에게 처방하는 '팍스로비드'와 '라게브리오'같은 치료제 공급 물량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"우리 집이 팍스로비드를 취급하는 약국인데, (그러면 언제 오면 있어요?) 그건 우리가 장담을 못 합니다. (그럼 감기약 먹고 견디는 수밖에 없네.)" <br /> <br />이런 사정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이 더 열악합니다. <br /> <br />공급 물량이 상대적으로 적어, 매주 딱 한 번 들어오는 치료제는 다음 날 아침 금세 동납니다. <br /> <br />[이상흥 / 약사 : 요새는 공급되는 물량을 한 이틀분 정도 쓰면 약이 떨어지니까, 이제 나머지는 환자들한테 약이 없습니다, 죄송합니다, 이런 식으로 이제 넘어가는 거죠.] <br /> <br />치료제가 필요한 환자 대부분은 나이가 많은 고위험군. <br /> <br />이들이 무더위 속에 약국을 찾아 곳곳을 떠돌다가 상태가 급격히 나빠질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창곤 / 가정의학과 전문의 : 실제 상당히 고열이 난다거나, 거기다 이제 굉장히 고연령이셔서 저로서도 꼭 약을 써야 할 것 같은 분인데, 처방을 냈는데 약이 없다고 하면 좀 걱정도 되고, 문제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….] <br /> <br />질병관리청은 지자체와 함께 물량을 더 공급하고 추가 구매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미 여름철 재유행이 현실화해 대처가 늦었다는 비판이 나오는 상황. <br /> <br />상대적으로 공급이 부족한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대책도 마련해야 대규모 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근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: 전기호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근우 (gnukim05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80912331686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