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태권도의 종주국답게 파리에서 연일 금빛 발차기 소식이 들려오죠. <br><br>그런데 북한이 태권도를 단독으로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신청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><br>이현용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유네스코 홈페이지에 '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통무술, 태권도'란 문서가 2025년 논의를 위한 계류 상태로 나옵니다.<br><br>북한이 단독으로, 태권도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 신청한 겁니다. <br><br>신청 시점은 지난 3월입니다. <br><br>북한은 이전부터 태권도에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[북한 방송] <br>"우리 태권도에는 반만년의 오랜 유구한 역사와 슬기롭고 용맹한 우리 인민들의 존엄과 기상이 모두 깃들어 있습니다." <br> <br>올림픽에선 남한의 세계태권도연맹이 공인받았지만, 북한 국제태권도연맹도 별도의 세계대회를 주최하고 있습니다. <br><br>국가유산청은 북한의 태권도 등재 여부는 2026년 최종 결정된다고 밝혔습니다.<br><br>다만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제도는 배타적 독점을 인정하지 않는다며 우리도 등재신청을 하면 된다고 설명합니다.<br><br>실제로 아리랑과 김장 문화는 2년 간격을 두고 남북한이 따로 등재한 바 있습니다. <br><br>문제는 태권도가 우리의 우선순위가 아니라는 겁니다. <br><br>유네스코는 우리나라와 같은 다등재국의 인류무형유산 신청을 2년에 1건으로 제한하고 있는데, 정부는 올해 '한지'를 2년 뒤엔 '인삼'을 신청 대상으로 선정했습니다. <br> <br>태권도 등재 신청은 빨라야 4년 뒤에나 가능한 겁니다. <br><br>[최재춘 / 코리아 태권도 유네스코 추진단장] <br>"현재 남북한이 대치 상태에서 최악이더라도 태권도만큼은 평화와 화합을 상징하는 의미에서 유네스코 공동 등재를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해요." <br> <br>2018년 등재된 씨름의 경우 남과 북이 따로 신청했지만, 외교적 노력의 결과 남북 공동등재가 결정됐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이현용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김민정<br /><br /><br />이현용 기자 hy2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