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인천 전기차 화재 사건 속보입니다. <br> <br>사고 당시 지하주차장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아 피해를 키웠는데요, <br><br>소방당국이 조사해보니, 관리소 직원이 화재 신호 직후 스프링클러를 작동시키기는 커녕 밸브를 잠근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><br>이혜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지하주차장에 세워진 벤츠 전기차에서 연기가 나기 시작하고 폭발과 함께 화염에 휩싸입니다. <br><br>그런데 주차장 어디에서도 스프링클러는 작동하지 않습니다. <br><br>초기 진화에 실패하면서 차량 140대가 피해를 입었고, 단전단수로 주민들이 고통을 겪어야 했습니다. <br><br>해당 아파트의 화재 수신기를 감식한 소방당국, 아파트 관리사무소 관계자가 임의로 스프링클러 밸브를 잠근 사실을 확인했습니다, <br> <br>이 주차장에 설치된 스프링클러는 감지기가 열을 감지하면 밸브가 자동적으로 열리면서 물이 나오는 방식입니다. <br><br>그런데 화재 신호가 전달된 6시 13분, 관리소 방재실에서 누군가 작동 정지 버튼을 누르면서 밸브가 잠긴 겁니다. <br> <br>5분 뒤인 6시 18분 정지 버튼이 해제됐지만 물은 끝내 나오지 않았습니다. <br><br>해당 구역 선로가 소실되면서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><br>[소방 관계자]<br>"소방시설이 고장이 났다거나 아니면 수리를 위해서 그런 걸 정지를 할 수 있지만 그게 아닌 이상은 정지를 하면 안 돼요, 원칙적으로." <br> <br>화재 신호가 나왔는데도 잘못된 신호이거나 오작동이라고 보고 정지 버튼을 누른 것 아니냐는 추정이 나옵니다. <br><br>주민들은 분통을 터뜨립니다. <br> <br>[아파트 주민] <br>"화나죠. (스프링클러) 장치의 문제인지,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문제인지 모르겠는데." <br> <br>관리사무소 측은 사실 관계를 파악 중이라며 현재로선 할 말이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소방 당국은 관계자 진술 등을 확보해 관련법 위반 사항에 대해 조치할 방침입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이혜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권재우 <br>영상편집: 이혜진<br /><br /><br />이혜주 기자 plz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