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된 천연기념물 장수하늘소의 인공사육이 10주년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인공사육을 통해 기른 성체를 매년 방사해 자연 번식에 성공하면서 멸종위기에서도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김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긴 더듬이에 단단한 머리와 등껍질 <br /> <br />마치 갑옷과 투구를 입은 전사처럼 보입니다. <br /> <br />유라시아에서 가장 큰 딱정벌레인 '장수하늘소'입니다. <br /> <br />1968년, 곤충 가운데 처음 천연기념물로 지정됐지만, 개체 수가 급감하면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은 광릉숲이 유일한 서식지인데, 2015년부터 장수하늘소 인공사육 기술을 개발해 복원에 나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자연에서는 5년에서 7년가량 걸리는 생육 기간을 16개월로 단축하고, 꾸준한 번식을 통해 현재 500여 마리를 사육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해마다 성충을 자연으로 방사하는데, 자연에서 관찰되는 개체 수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지난해는 인공사육을 통해 자연으로 방사한 암컷이 야생 수컷과 교미해 처음으로 자연 번식에 성공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도 성충 5개체를 서식지인 광릉 숲으로 돌려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광릉숲에서 채집된 개체들을 교배해 인공증식으로 태어나 성충이 된 개체들입니다. 암컷 1개체, 수컷 4개체인데, 이번에 다시 광릉숲으로 돌아가 숲에 적응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방사된 개체들에는 소형 송신기가 부착돼 이동을 추적할 수 있는데, 활동 공간과 범위를 확인하는 게 복원에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. <br /> <br />[김창준/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연구사 : 방사를 통한 복원 작업 자체가 멸종위기종에 있어서 성공적으로 복원시킬 수 있는 그런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.] <br /> <br />연구진은 광릉숲만 아니라 여러 지역에서도 장수하늘소가 정착하고 자연 상태에서 번식한다면 멸종위기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민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;김정한 <br /> <br />디자인;박유동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민경 (kimmin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4081003240180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