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몬과 위메프 사태로 여행 관련 피해액을 환불받지 못한 소비자들의 집단 분쟁조정이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9천 명 넘게 분쟁조정을 신청했는데 실제로 피해를 구제받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최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소비자원은 지난 1일부터 티몬과 위메프 사태로 피해를 본 소비자에 대한 구제 절차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 규모가 크고 환불이 막힌 여행과 숙박, 항공권 같은 여행 상품 피해 소비자들이 대상입니다. <br /> <br />[전예령 / 티몬 여행상품 피해자 : 카드사는 지금 계속 PG(전자지급결제대행)사를 핑계 대면서 서로 핑퐁 핑퐁하면서 피해자들을 더 우롱하고 있거든요. (결제금액은) 쿠폰 할인까지 받아서 250만 원인데 지금 여행사에다가 재결제를 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500만 원짜리 여행이에요.] <br /> <br />소비자원이 지난 9일까지 집단 분쟁조정 신청을 받았는데 모두 9천28명이 접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3년 전 대규모 환불 대란을 빚은 머지포인트 사태 때인 7천2백 명을 훌쩍 뛰어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원은 조만간 집단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해 본격적으로 조정에 돌입합니다. <br /> <br />조정 당사자에는 소비자와 티몬·위메프뿐만 아니라 여행상품 판매자도 포함됩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조정안에는 여행사의 소비자 피해 구제 방안도 담길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조정이 시작되더라도 피해 소비자들의 답답한 기다림은 쉽게 끝나지 않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2021년 머지포인트 사태 때는 9월에 집단분쟁조정 신청이 시작됐는데, 이듬해 6월에서야 조정 결정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조정안이 결렬돼 민사소송까지 이어졌고 최근에야 1심 판결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조정안이 성립되더라도 피해 소비자가 곧바로 구제받지 못할 수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티몬과 위메프의 지급 능력이 없다면 아무 소용 없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이은희 /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 : 채무자에 해당하는 위메프나 티몬이 이것을 변상할 만한 돈이 없거나 그러면 (조정이) 성립돼도 이행 강제를 시키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죠.] <br /> <br />또 머지 사태처럼 조정안이 결렬돼 소송으로 갈 경우 피해 소비자들의 속 타는 시간은 더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아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마영후 <br />디자인 : 이나은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아영 (cay24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810221323772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