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지수 100 이하면 매출 감소 업체 더 많다는 의미" <br />"외식업, 엔데믹 효과 끝…코로나 이전 침체 국면"<br /><br /> <br />고물가 상황이 길어지면서 외식 경기가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물가 부담에 회식자리까지 줄면서 주점 업종이 특히 타격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 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황보혜경 기자, 현재 외식산업 경기 지수가 어떻게 나타났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2분기 외식산업경기동향지수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2분기 지수는 75.60으로 1분기보다 3.68포인트 하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외식업 지수는 지난해 2분기부터 하락세를 보이다 올해 1분기 반등했지만, 다시 약세로 돌아섰습니다. <br /> <br />이 지수가 100보다 낮으면 지난해 같은 대비 매출액이 줄어든 업체가 증가한 업체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 <br /> <br />한식과 치킨, 피자·햄버거 등 8개 업종 모두 현재 지수가 1분기보다 하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세부적으로 보면, 중식 음식점업이 70.74로 가장 낮았고, 기관 구내식당업이 99.11로 가장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주점업은 70.93으로 지난해 2분기 이후 외식산업 세부 업종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고물가에 회식이 줄어든 데다 택시비 인상 등의 영향으로 주점업은 당분간 낮은 지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외식 경기 침체가 길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부터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소비 지출이 줄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보고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와 엔데믹 선언으로 반사 호황을 누렸던 외식업 경기가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 침체 국면으로 다시 돌아갔다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고용 악화로 자영업을 하려는 사람들이 늘면서 외식업 경쟁률이 높아졌다면서, 이는 수익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반기 외식업 전망도 어둡습니다. <br /> <br />내수 회복이 지연되는 데다, 이른 폭염과 장마로 식자재 가격이 오르고, 공공요금 등의 비용도 상승하면서 외식업주들의 경영 부담이 커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황보혜경 (bohk1013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81111111092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