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고객정보 유출, 직원 횡령, 전 회장 친인척 부적정 대출까지, 우리금융그룹이 이 일로 넉달 새 3번이나 사과했습니다.<br><br>대체 내부 통제 시스템이 어떤 건 걸까요.<br><br> 유찬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손태승 전 회장 관련 부적정 대출이 드러나자 "경영진의 피할 수 없는 책임"이라고 사과하면서 "내부통제 체계를 철저하게 바꿔나가겠다"고 약속했습니다.<br> <br>우리은행 영업점 직원이 고객 대출금 179억 원을 횡령해 대국민 사과를 하며 재발방지를 약속한지 두 달도 안된 시점이었습니다. <br> <br>[조병규 / 우리은행장 (지난 6월)] <br>"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개선을 해서 재발 방지를 하도록 하겠습니다." <br> <br>앞서 지난 4월에도 우리금융 계열사인 우리카드가 가맹점 대표자들의 개인정보 유출 문제로 대고객 사과를 하며 재발방지를 약속했지만 금융사고는 이어졌습니다.<br> <br>사고와 사과가 계속해 반복되며 우리금융그룹 측은 넉 달 새 세 번이나 고개를 숙여야 했습니다. <br><br>내부통제 체계가 무너졌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<br> <br>실제 우리은행은 올해 1월 부적정 대출을 일부 인지하고도 지주그룹에는 3월, 금감원에는 5월이 돼서야 이 내용을 뒤늦게 보고했습니다.<br> <br>전문가들은 조직문화 개선과 꼬리 자르기 관행 종식을 당부했습니다. <br><br>[박주근 / 리더스인덱스 대표] <br>"실무자나 본부장 차원에서 일을 마무리하는 것이 아니라 최고 수뇌부 특히 회장단까지 분명한 답을 내놓아야 될 것 같습니다." <br> <br>우리금융은 기존 관행과 행태를 깨고 제도 보완에 힘쓰겠다고 했고, 우리은행은 "손 전 회장의 친인척 부당대출 사태와 관련해 <br>의도적 보고 지연은 없었다"고 해명했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유 찬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한효준 <br>영상편집: 강 민<br /><br /><br />유찬 기자 chancha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