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독립유공자 후손 100여명과 8·15 광복절 기념 오찬을 함께했다. 윤 대통령은 “독립 영웅들께서 남겨주신 독립의 정신과 유산이 영원히 기억되고, 유공자와 후손들이 합당한 예우를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”며 “자유의 가치를 지키며 발전시켜온 선조들의 뜻을 잊지 않고 자유, 평화, 번영의 대한민국을 건설하는 데 모든 힘을 쏟을 것”이라고 말했다. 윤 대통령의 말처럼 이날 오찬에 참석한 독립유공자 후손들은 국군 의장대의 도열과 군악대 연주 등의 의전을 받으며 행사장에 입장했다. 윤 대통령은 참석자 한분 한분에게 일일이 악수를 청하며 “건강하시라”고 인사를 건넸다. <br /> <br /> 독립유공자 후손 오찬은 광복절에 앞서 매년 정례적으로 열리는 대통령 주재 행사다. 광복회장을 비롯한 광복회 임원도 참석해왔다. 하지만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의 임명 철회를 요구 중인 이종찬 광복회장은 예고대로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. 이 회장은 김 관장이 뉴라이트 계열 인사라며 반발하고 있다. <br /> <br /> 이 회장은 지난해 독립유공자 오찬 행사에선 윤 대통령에게 국가보훈부 승격에 대한 감사를 전하며 “대한민국이여 영원하라”는 건배 제의를 했었다. 대통령실 관계자는 “건국절 추진 계획이 없다고 수차례 참석을 설득했지만, 소용이 없었다”고 말했다. 이 회장은 15일 광복절 경축식 행사도 불참하겠다고 했다. <br /> <br /> <br /> 윤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선 건국절 논란 등은 언급하지 않았다.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270682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