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계보건기구, WHO가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확산하는 엠폭스에 대해 최고 수준의 보건 경계 태세인 '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'(PHEIC)를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지난해 5월 확산세가 주춤하면서 해제했다가 1년 3개월 만에 다시 선언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현지 시간 14일 전문가들로 구성된 국제 보건규약 긴급위원회의 논의 결과를 받아들여 엠폭스에 대한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WHO가 내릴 수 있는 최고 수준의 공중 보건 경계 선언으로, WHO는 이를 계기로 질병 억제를 위한 연구와 자금 지원, 국제적 보건 조치 등을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서부 아프리카의 풍토병이었던 엠폭스는 2022년 5월부터 세계 각국으로 확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병에 걸리면 수포성 발진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급성 발열이나 두통, 근육통 등을 동반하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유럽과 미주 등지로 엠폭스가 번지자 WHO는 2022년 7월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가 같은 해 하반기부터 확산이 둔화하면서 선언 10개월 만인 작년 5월 비상사태 해제가 발표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또 다른 하위 계통의 엠폭스가 아프리카에서 작년 9월부터 확산 조짐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가장 확산이 빠른 곳은 콩고민주공화국으로, 올해에만 확진 사례 1만 4천479건, 사망 455명 등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아프리카 질병통제예방센터(CDC)에 따르면 아프리카 대륙 55개국 가운데 최소 16개국에서 엠폭스가 발병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황보선 (bosu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815034929608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